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점막 면역보조제 기술의 발전과 도전

전문가 제언

대부분 유해 병원균은 소화기, 호흡기 또는 성 접촉에 의해 점막 표면으로 침입하기 때문에 점막은 백신접종을 위한 유력한 후보 부위이다. 점막을 통한 백신 접종은 또한 경비 절감, 주사바늘 위험 감소, 혈액 유래 질병의 전파 감소, 무통과 같은 생리적, 실질적 이점이 있다.

 

감염병균의 점막표면을 통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CMIS(Common Mucosal Immune System)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점막백신의 효능을 효율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면역보조제 또는 항원 전달체가 결여되어 있고 현재 사용 중인 점막백신의 수가 극히 적으며, 백신의 효능도 높지 않은 실정이다.

 

선진국들은 점막백신을 이용하여 점막 표면에서 항원-특이 IgA 항체의 생성을 유발하고 점막 면역을 강화시키는 것이 감염성 질환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인 대형 백신 회사들도 차세대 신기술로 점막면역 유발 백신의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점막백신은 전신 면역계에도 항원 특이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매력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무흡입, 장관면역, 구강면역 방법과 같은 다양한 점막면역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백신산업 육성 정책에 힘입어 일부 백신의 국내 독자개발이 가시화되고 있으나 감염병을 대상으로 한 면역보조제, 점막백신의 개발 성과는 아직 미진하다. 국제백신연구소가 개발한 국제용 경구용 콜레라 백신을 국내에서 생산하기에 이르렀으나 국내 제약회사는 단백질 의약품의 점막 전달에 대해 주로 관심을 갖고 있다. 점막 백신은 차세대 백신을 위한 신기술의 하나이므로 원천 기반기술을 확보하여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가장 일반적인 점막 면역보조제의 효능과 관련된 도전 사항을 논하면서 설계된 면역보조제는 M 세포 표면의 특이 수용체를 표적으로 해야 항원의 흡수와 제시를 증대하고 면역반응을 유발하여 감염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것이라고 하였다.

저자
Daniel Newsted, Firouzeh Fallahi, Ashkan Golshani, Ali Aziz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3()
잡지명
Vac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399~2405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