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현수교 강철선 밧줄의 감마선 비파괴검사

전문가 제언

2013, 대만 New Taipei시 현수교 강철선 밧줄이 끊어져 4명이 다쳤다. 현장에서의 예비조사로 강철와이어로프 절단의 주원인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부식으로 강철선 밧줄이 열화, 마멸, 절단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구조적인 안전을 보증하기 위하여 현수교 강철선 밧줄에 대한 육안검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였으나 사고가 난 현수교의 강철선 밧줄은 플라스틱 재질로 피복되어 철선의 열화조건을 육안으로 검사할 수 없었다.

 

강철선 밧줄 피복은 현수교 건설에서 일반적 추세가 되면서 강철선 밧줄 검사가 엔지니어링산업에서 필수 관심사가 되었다. 더욱이 강철선 밧줄은 가볍고 굽히기 쉬우며 정하중 및 동하중에 강하여 광산, 조선업, 건설 및 수송에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강철선 밧줄을 이용하는 대상물에는 현수교, 크레인, 호이스트, 승강기 및 강철선 밧줄로 지지되는 교량 등이 있다. 그러나 다른 기계적 재료와 같이 강철선 밧줄은 마모 및 부식 혹은 장기간에 걸친 이용으로 파열될 우려가 있다.

 

현수교에 대한 육안검사를 정기적으로 수행하지만 강철선 밧줄은 플라스틱 재질로 피복되어 밧줄의 열화조건을 육안으로 발견할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방사선시험과 전자파시험을 비교하였다. 강철선 밧줄에 대한 방사선시험으로 감마선을 사용하였으며 조사시간과 민감도 평가기법을 개발하였고 실제 시험에서 그와 같은 기법이 강철선 밧줄의 결함을 평가하기 위하여 채택될 수 있었으며 현수교의 안전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20149월 경기도 일산에서 열린 국제건설기전 전시회에서 우리나라의 강철선 밧줄의 안전진단 검사 전문업체인 케이씨알이 강철선 밧줄 안전진단검사 기계장비(비파괴 진단검사시스템, KCR-LRM)를 조작하며 관람객들에게 시범을 보인 바 있다. 그러나 강철선 밧줄의 안전관련 기술규격의 정비와 관련 법규의 보완이 필요하며 검사의 제도화를 통하여 안전신뢰도를 제고시켜야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저자
Peng-Chi Peng, Chung-Yue Wa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75()
잡지명
NDT & E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80~86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