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전선의 미생물습식제련에 의한 동 침출

전문가 제언

유럽의회는 폐차(ELV) 또는 폐전기전자기기(WEEE)에 대한 리사이클링 목표치를 2018년까지 설정하려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WEEE의 리사이클링 과정 중에 발생하는 잔여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가금속까지 회수 대상으로 삼아야만 한다. 현재 이들 최종 잔여물 대부분은 매립 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다.

 

ELV 또는 WEEE에 포함된 금속물질의 리사이클링은 우선적으로 수선별한 후 파쇄하여 물리적 선별과정을 거쳐 유가물을 회수하고, 낮은 품위의 잔여물에서 금속을 화학적으로 회수한다. 본고는 ELV의 전선을 수선별과 비중선별로 처리하고 남은 파쇄 잔여물을 대상으로 미생물 및 화학침출 방법으로 동을 회수하는 새로운 시도를 소개하였다.

 

폐전선 잔여물에서 90% 이상의 동 추출을 목표로 하였을 때 가장 양호한 동 회수는 초기 Fe3+ 농도 7.0g/L, 35에서 Acidithiobacillus ferrooxidans 미생물침출에 의해, 그리고 Fe3+ 6.4g/L, 50에서 순수 화학적 침출에 의해 얻을 수 있었다. 미생물침출 시스템이 화학침출 시스템에 비해 미미하게 우수하였다.

 

화학침출을 기초로 한 습식제련기술은 오래전부터 금속 회수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미생물침출 기술도 많이 발전하여 이미 25% 이상의 동이 저품위 광석에서 회수되고 있다. 미국, 중국, 핀란드, 호주가 이들 기술을 선도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최근에는 광산폐기물은 물론 ELV, WEEE와 같은 생활 또는 산업폐기물(도시광산)에서 유가금속을 회수하려는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한국은 WEEE에서 유가금속을 화학침출 기술로 회수하려는 시도가 1990년대에 이루어져 몇 개 기업에서 상용화 기술로 정착되어가고 있다. 반면에 미생물침출에 의해 금속을 회수하려는 연구는 2000년대 후반에 시작된 바 있으나, 현재는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 기술들을 폐전선 잔여물에 적용하려는 시도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지만 우리도 좀 더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자
F. Lambert, S. Gaydardzhiev,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6()
잡지명
Minerals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8~46
분석자
정*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