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의 구조와 기능

전문가 제언

뇌는 사람의 본능적인 각종 생명활동의 유지만이 아니고, 인지기능 등을 포함한 중추적인 기능을 갖고 있어 뇌 기능에 대한 총체적이면서도 구체적인 정보의 중요성은 매우 절실한 문제로 생각된다. 외배엽유래 내에 있는 1조 개 정도의 뉴런 집합체인 뇌의 크기(무게)1,400-1,600g 정도이나 우리 몸 전체의 포도당(에너지원)의 거의 50%를 소비하고 있는 사실만 보더라도 그 중요성을 알 수 있다 하겠다.

 

뇌의 기능 즉, 뇌의 신경과학의 발달에 힘입어 그동안 베일에 쌓여있던 신경전달물질 또는 전달물질의 규명에 이어 이들의 기능에 이르기까지 괄목할만한 성과를 얻고 있으나 뇌의 구조와 특히 인지기능과의 관계 등에 대한 성과는 매우 미흡한 실정에 있다 하겠다. sMRI, VBM기법 등을 활용한 시도는 바람직하나, 현실적인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구조와 기능과의 객관적인 계량화, 수치화 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에는 그동안의 축적된 각종 정보 분석결과 종래의 환경적인 영향보다는 유전적인 영향이 크고, 뇌구조에도 미세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져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범죄자 가족의 MAOA(Monoamine Oxidase A)유전자 검색결과 변이가 많이 발견되어 이것이 충동성과 공격성을 높이게 되어 끔찍한 사고 유발로 이어진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뇌의 MRI 촬영결과에서도 일반인에 비해 전두엽피질의 활성화가 매우 낮게 나타나서, 뇌구조와 기능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1998년 뇌 연구촉진법이 제정된 후 2007년에는 2차 뇌 연구촉진 기본계획(2018-2017)이 수립되어, 국내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015년 김영윤은 정신질환자의 전전두엽 등의 부피감소와 연계된 기능장애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부분적인 현장에서의 뇌 교육 도입 등과 같은 영재교육에의 활용 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국내 미래 산업 개척의 일환으로 선진국을 추월한 안전하면서도 실용화할 수 있는 뇌 정보처리기술, 새로운 시스템의 의료기기개발과 뇌기능 영상처리능력의 계량화 등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Ryota Kana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15
권(호)
34(7)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644~648
분석자
강*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