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QSC 실리콘 잉곳으로 만든 태양전지 성능

전문가 제언

단결정이나 다결정(mc) 실리콘 웨이퍼는 현재의 태양광 산업에서 기판 재료로 주류를 차지한다. 그러나 이들 2재료는 태양전지를 제조하는데 다소 부적합하다. 우선 mc-Si에 비해 단결정 실리콘은 물질 첨가한 pCZ-Si 웨이퍼로 낮은 결함 밀도와 낮은 반사율의 표면 텍스처링 때문에 높은 셀 성능을 보여준다. 그러나 CZ-Si 웨이퍼는 솔라 모듈 때문에 둥근 각으로 처리해야 하는데, 재료의 손실뿐만 아니고 최종 모듈의 면적 손실도 감수해야 한다. 또 심각한 광유도 저질화(LID)를 피할 수 없고 결국 코스트를 상향시킨다.

 

한편 mc-Si은 태양전지의 평균 효율은 높은 전위밀도와 결함 구조의 금속 불순물 때문에 mc-Si 태양전지의 전기성능이 이들로 인해 방해되어 CZ-Si 태양전지보다 훨씬 낮다. mc-Si 태양전지의 다른 단점은 표면 텍스처링 이후에 표면 반사율이 높아 셀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문에서 말하는 유사 단결정 실리콘(Quasi-single crystalline silicon, QSC-Si)은 캐스트 단결정 실리콘 기술로 CZmc 실리콘의 양쪽의 장점을 갖고 제조한다.

 

QSC-Si은 실리콘 태양전지의 이상적 재료로 알려지고 있는데 정방형, 단결정에 낮은 구조 결함 밀도와 제작 코스트가 낮다. 캐스트 공정의 크루시블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캐스트 유사 단결정 실리콘(QSC) 또는 일신형 실리콘(mono-like silicon) 등으로 불린다. 센터에 하나의 큰 그레인의 캐스트 결정이 있고 주위에 작은 입자들이 있다. QSC-Si 태양전지는 본문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효율이 18% 이상으로 보고되어있고, 앞으로 PV산업에서 좋은 결과를 주리라 예측하고 있다.

 

국내는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는 많다. 삼성종합기술원에서 고효율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와 성균관대에서 PC1D를 이용한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 등 많은 논문이 나와 있다. 최근 한화그룹과 충청남도가 지난 5월 개소한 주도 프로젝트는 홍성군의 죽도를 태양광을 활용한 에너지 자립 섬으로 변모시킨다. 또 한화큐셀은 인도와 필리핀에 5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한다.

 

저자
Genxiang Zho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111()
잡지명
Sol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18~224
분석자
손*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