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바이오가스 보급 장벽과 기회 및 여러 나라의 교훈

전문가 제언

바이오가스 기술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SSA: Sub-Saharan Africa)에 에너지 공급, 위생 및 식량 안보분야에 공헌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오가스 시스템 채택 보급은 지지부진하고 산발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SSA에서 바이오가스 기술이 널리 보급되지 못한 원인을 조사하고, 루안다, 탄자니아, 중국, 인도 및 네팔에서 바이오가스 보급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험에서 기회와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설치비용, 바이오가스 이용자의 이해부족 및 훈련과 충분한 후속 서비스의 부족이 SSA에서의 바이오가스 보급의 장애가 됨을 밝혔다.

 

SSA에는 바이오가스 기술의 좋은 조건, 즉 대부분 지역이 적합한 열대 기후조건이고, 농업이 성행하여, 바이오가스 기술을 채택함으로써 재래식 고가의 에너지 서비스를 대체할 기회가 주어져있다. 바이오가스 기술의 개선, 보급 및 장기 이용에 연구기관, 정부 부처 및 바이오가스 이용자 간의 협력이 긴요하다.

 

우리나라는 2012년 환경부에서 발표한 ‘2011 유기성 폐자원 에너지 활용시설 현황에 따르면 2011년 기준 국내 유기성 폐자원 바이오가스 생산 및 이용시설은 55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0113월부터 6월까지 4달간 음식물류 폐기물, 가축분뇨, 하수슬러지 등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통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공공 및 민간시설을 서면조사한 결과 음식물류 폐기물 2개소, 폐수 9개소, 가축분뇨 7개소, 하수슬러지 20개소, 병합처리를 통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활용하는 시설 17개소로 집계했다.


 

이는 총 50개소였던 지난 2010년에 비해 10% 증가한 것으로 폐수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시설이 3개소, 유기성 폐기물을 병합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한 시설이 2개소 추가됐다. 그러나 최근 설치된 바이오가스 시설 등 조사에 미포함된 시설까지 고려할 경우 이보다 더 많은 수가 집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활용률에 대한 통계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저자
Gloria V. Rupf,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52()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68~476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