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추형 분출 상 반응기에서의 하수슬러지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급속 열분해

전문가 제언

하수슬러지의 열분해에 대한 연구 및 운영은 세계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럽과 일본에서 매우 적극적으로 실용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상당한 연구가 축적되었고 일부 지자체에서 하수슬러지의 열분해를 도입하는 단계에 있다. 하수슬러지의 열분해는, 일단 열적 처리를 하지 않은 하수슬러지는 환경호르몬, 병원균, 중금속으로 인하여 폐기에 어려움이 많고, 특히 처리장 근처의 주민들에게 악취로 인한 불편을 주기 때문에 열적 처리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하수슬러지의 열분해는 대부분의 경우, 폐기물처리장에서 다른 폐기물과 함께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 생성되는 가스성분은 오염물질을 허용치 이상으로 함유하고 있어 별도의 배기가스 처리시설이 필요하다. 그러나 하수슬러지와 기타 적절한 물질을 혼합하고 적절한 기술을 적용해서 열분해하면 본 연구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배기가스 처리 시설이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하수슬러지를 건조, 운반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열분해기술에는 저온에서부터 고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정이 개발되어 있고 근래에는 발열량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공해물질을 저감시키는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슬러지에 특화된 고온 열분해기술이 산학협동으로 개발된 바 있다. 슬러지의 열적 처리의 다른 분야는 소각인데, 이 분야 역시 배기가스의 오염물질 특히 NOx 농도를 허용치 이하로 낮추는 기술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열분해공정으로 생성되는 가스는 오염물질농도가 낮을 경우, 가스터빈 또는 가스엔진의 연료로 사용되어 직접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소각열을 이용해서 스팀을 생산한 후 발전기를 가동시키는 방법에 비해 더 효율적이다. 결론적으로 요약하자면, 슬러지의 열적 처리를 통한 에너지 및 가용자원 회수에 적극적인 추진과 지원이 현 시점에서 매우 필요하다.

 

저자
Jon Alvarez,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59()
잡지명
Fue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10~818
분석자
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