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산물에서 얻은 디-와 트리- 펩티드들; 지방세포의 수와 기능 억제
- 전문가 제언
-
○ 비만은 비전염성 전염병으로 만병의 원인이다. 성인(15세 이상)16억 이 과체중(BMI; 25∼30kg/m2)이고, 4억은 비만(BMI≥30kg/m2)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도 초고도 비만(BMI≥35kg/m2)이 증가하고 있다. 2013년 기준으로 초고도 비만율이 0.49%이고 이중 남성이 0.49%, 여성이 0.50%였다.
○ 비만은 당뇨병, 허혈성 심장질환, 뇌졸중 등 많은 질병을 유발한다. 여기서 어류, 해조류 및 조개류와 같은 해산물에서 Cryptides를 선택하여 지방선구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 지방세포의 지방축적에 관한 연구를 목표하였다.
○ 연구에 사용한 Cryptides는 6개 디펩티드[val-Trp(VW), Val-Tyr(VY), Lys-Tyr(KY), Lys-Trp(KW), Ile-Tyr(IY), Ala-Pro(AP)]와 5개 트리펩타이드[Val-Ile-Tyr(VIY), Leu-Lys-Pro(LKP), Gly-Pro-Leu(GPL), Ala-Lys-Lys(AKK), Val-Ala-Pro(VAP)]이고, 사용한 농도는 전체 Cryptides에 대하여 100μM로 높게 사용하였다.
○ Cryptides 중 몇 종 펩티드만이 비만을 억제하였는데 AP, VAP 및 AKK는 사람 백색 지방선구세포(HWP)의 생존율을 상당히 감소시켰고GPL 처리는 대조군에 비하여 지방 함량을 최고로 감소시켰고, IY와 VIY도 지방축적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 또한 GDPH는 중성지방인 Triacylglycerol의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이며, GPL과 IY는 HWP에서 GPDH 활성을 상당히 감소시켰고, 또한 지방형성 유전자들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일부 Cryptides는 비만 예방과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에서 해조류를 많이 식용하고 있으나 기능 특성연구는 별로 없고 검정콩과 실크에서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펩티드의 작용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해산물에서 Dipeptides와 Tripeptides는 무수한 종류가 존재하므로 새로운 활성 펩티드를 찾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요구된다.
- 저자
- Yesmine Ben Hend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17()
- 잡지명
- Journal of Functional Fo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10
- 분석자
- 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