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클라우드를 이용한 비즈니스 창출의 대처와 장래전망

전문가 제언

세계적으로 소비자의 클라우드 환경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가전 기기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HW 조립이나 운영체제 설치 등 별도의 과정 없이 기존 가전제품을 사용하듯 쉽게 클라우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및 유지 보수 등이 간단하다. 스마트 홈과 가전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되는 것은 역시 연결성이다.

 

가전기기가 네트워크 및 스마트폰과 연결되면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이 시장에서 클라우드가 강조되고 있으며 냉장고, 세탁기 이외에 전기레인지와 커피머신 등 홈 커넥트의 상용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고장예측 기능이 부가되는 것도 특징적이다. 국내의 스마트화 가전 비지니스가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장예측기능의 부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와 표준화 리딩이 중요하다.

 

스마트 홈에서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연결성을 기반으로 하므로 다양한 IoT서비스에 참조되고 있다. 클라우드 가전기술 이전의 정보가전 제어기술은 기기간 직접 연결방식을 사용하고 인터넷 제어에는 한계가 있었다. 스마트 혼에서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은 가상화 기법을 통해 인터넷을 통해 연결성을 확보하여 IoT 응용을 확장시키고 있다. IoT의 표준이 OneM2M, Alseen Alliance 등 표준화 활동이 활발하나 아직 각 국별 지역별 비표준화 제품에 의한 사실상의 표준화 경쟁이 치열하다. IoT 기반의 홈 클라우드 서비스별 단말 및 통신기술, OS의 기술 표준화 선점이 중요하다.

 

국내 업체 동향으로는 섬성SDS, LG CNS, SK C&C 등의 계열 IT서비스 업체와, KT, LG U+, SKT 등 통신기업, 다음, NHN 등 이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업에 뛰어들어 경쟁이 치열하다. 2015년 3월 통과된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은 사실 2013년 이후 예정되었던 것으로 '한국 클라우드 법' 이라고도 말할 수 있으며 2015년 9월 28일부터 시행 된다. 이는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과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Toru Ueda,Toshio Nomu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5
권(호)
2015(109)
잡지명
シャ?プ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8
분석자
권*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