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풍력에너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2012년 세계 풍력발전용량은 282GW이고, 매년 44.71GW 풍력터빈의 추가로 27.6%씩 성장하고 있고, 2018년에 풍력발전이 전력의 8%를 차지하고, 2020년에는 설치용량이 1900GW에 도달할 전망이다. 세계 풍력에너지협회에 의하면 97GW의 풍력에너지로 매년 12200만 톤의 탄산가스를 줄여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신재생 에너지 가운데 풍력에너지가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풍력에너지의 활용에 흥미를 보이고 있는 국가는 물론 개발도상국의 생태학적으로 취약한 지역에서는 풍력에너지 산업의 지속적 성장과 풍력단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풍력발전이 확대되면서 원재료 확보, 건설, 에너지 변환과 같은 풍력에너지 생산체계에 포함된 여러 과정을 통해 대기, 토양, 물 및 생태계에 예기치 못한 환경적 영향을 일으킨다. 본문은 지속 가능한 풍력에너지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소음공해, 조류 치사율, 온실가스 배출, 지역 기후변화 등 풍력발전이 환경에 주는 영향을 검토하여 정책 입안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풍력발전의 개발은 토지의 용도를 변화시키고 경관을 바꾸게 되어 결과적으로 생활공간, 생태계, 조류 치사율, 온실가스 및 지표기후에 큰 변혁을 일으킨다. 또한 풍력터빈의 수명주기 분석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은 286g C02e/kWh로 보고되고 있다. 이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키고 효과적인 신재생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일본은 2012년 총 출력이 1kW 이상인 풍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경우 소음이나 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지자체 및 중앙정부에 보고 및 의견을 구하도록 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국내에서도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환경적 및 사회적 이슈들을 고려하도록 풍력발전 시설의 환경평가제도 정책수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
Shifeng Wang, Sicong Wa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49()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37~443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