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후가 다른 지역별 학교 진균류 농도변화와 지침 농도

전문가 제언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현대인은 하루의 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한다. 실내 오염물질(먼지, 박테리아, 곰팡이, 석면 등 입자상, 포름알데히드, VOCs, CO, 라돈 등 가스상과 연소가스, 담배연기, 악취 등 복합물질)이 실외 대기오염물질보다 폐에 전달확률이 1,000배가 되며 실내 대기오염으로 세계적으로 약 430만 명/년이 사망한다(WHO, 2014).

 

실내공기 중 부유 미생물농도는 기온, 상대습도, 풍속과 풍향 등 기상조건, 건축자재(목제, 콘크리트와 카펫 및 벽지), 실내 비품과 재료, 통풍방식과 실외 부유 미생물 농도 및 정원수나 애완동물 등에 영향을 받는다. 3층 이하 특히 지하층일수록 습기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

 

어린이집의 실내/외 평균 부유 진균류 농도는 183/305 (I/O :0.6), 초등학교의 실내/외 농도는 346/346CFU/(I/O :1), 전국의 실내 평균 부유 진균류농도는 2501,100CFU/로 조사되었다(WHO 지침:500 이하). 따라서 장기적으로 기상조건, 지역별, 계절별, 채취 시간별 연속모니터링과 모델연구가 필요하다. 곰팡이 등 진균류 노출은 피부감염질환, 알레르기반응, 알레르기 비염, 과민성 폐렴과 천식 등의 유병위험이 있다.

 

본문은 대륙성, 온대성 및 아열대성기후 지역의 학교실내/외 공기 중 부유 진균류와 농도를 비교하고 각 기후특성에 적합한 실내 진균류 농도 지침(501,000CFU/) 설정의 필요성을 분석한 것이다. 지금까지 마련된 지침은 주거환경을 기준 한 것으로 학교 등 공공건물은 주거환경보다 발생농도는 적으나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므로 더 엄격해야한다.

 

우리나라 기후는 점점 아열대성화 하고, 지하 공간 활용이 많아 진균류 등 미생물 노출확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노인복지시설과 어린이보육시설이 증가하고 있어 사전 점검과 확인 등 예방적 조치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보통 하루 30분씩 3회 이상 또는 항상 창문을 1015cm 열어 자연통풍하면 실내 미생물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나, 노인복지시설 등 특정시설에 대해서는 12/34시간 동안 약 40로 가열 균멸 시키는(Bake out방법) 규정을 검토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저자
Heidi Salone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04()
잡지명
Atmospheric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6~194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