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열 냉방기술
- 전문가 제언
-
○ 전 세계적으로 신축빌딩 증가와 실내 쾌적성 향상으로 확대되는 공기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은 전력수요를 증가시키는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대응방안의 하나로 전기 대신 태양열이나 폐열 구동(thermally driven)의 냉방/공기조화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다.
○ 일반적인 태양열 구동 냉방/공기조화 시스템은 열 구동 냉동기, 태양열 집열기(solar collector), 축열조(heat storage tank), 냉각탑(cooling tower) 등으로 구성된다. 열 구동 냉방기술은 다양한 기술이 있지만 현재 밀폐 사이클인 냉수(chilled water) 시스템과 개방 사이클인 제습증발냉각(DEC: Desiccant Evaporative Cooling) 시스템이 주로 실용화되고 있다.
○ 냉수 시스템은 열 구동 흡습 냉동기(sorption chiller)로 만든 냉수를 팬-코일(fan-coil) 등에 순환시켜 실내를 냉방하며, 냉동기는 주로 흡수식(absorption)과 흡착식(adsorption)이 적용된다. 한편 DEC 시스템은 물(냉매)과 건조제(desiccant)를 이용하여 환기 시스템 내에서 공기를 직접 냉각한다.
○ OECD의 열에너지 수요는 최종에너지 수요의 47%를 차지하여 전력(17%)과 수송(27%)의 합보다도 많다. 이러한 에너지 소비 구조와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 등에 힘입어 해외 태양열시장은 연평균 17%(2000~2012년) 성장과 약 50조 원의 시장규모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해 국내 태양열시장은 1997년 약 7만 대/년 규모에서 2003년에는 1,000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침체기를 맞고 있다.
○ 국내 태양열시장의 침체는 아파트 보급, 보조금 축소/제한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주로 난방/급탕 용도로 이용됨에 따라 집열에 가장 유리한 하절기에 열수요가 적은 것이 근본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태양열 이용이 냉방용도까지 확대되는 다목적 태양열 시스템의 개발과 보급은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태양열시장 확대에도 크게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 저자
- Abdul Ghafoor, Anjum Muni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43()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763~774
- 분석자
- 이*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