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개선된 성능을 가진 압력 센서

전문가 제언

압력 센서는 대용량 기계로부터 초소형 스마트기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설치되어 응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에는 기계적 변화를 전기적으로 바꾸어 압력을 측정하는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형태의 압력 센서가 거의 필수적으로 장착되고 있다.

 

현재의 MEMS 압력 센서는 기판과 옆면 기둥 그리고 다이아프램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이 간단하며 제작원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절연체인 옆면 기둥층과 기판 그리고 다이아프램 사이에 병렬 전기용량이 발생할 뿐 아니라 옆면에 의하여 부유용량과 누설전류 등이 발생하여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예상되는 초소형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현재 압력 센서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특허에서는 기존의 관련 특허들인 DE 3737059, US 2005/262947EP 2520917 등을 참고하여 단층인 옆면 기둥층을 3개의 층으로 변형하여 병렬 전기용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압력 센서를 제안하였다. 다만 본 특허의 청구범위는 특수한 구조에 한정되어 있어 구조를 변경 시 충돌을 회피도 가능하리라고 보인다. 한 예로 옆면 기둥의 구조는 단층으로 그대로 두면서 전기용량 전환회로를 설치할 경우 비교적 간단히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MEMS의 세계적 시장규모는 2017년에 210억 달러로 예상되며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MEMS에 관한 국내특허는 2013년 이래로 현재까지 4건에 불과해 국내의 연구가 매우 저조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세계 최대 MEMS 센서 수요처인 삼성전자는 ST마이크로 등 외국 업체로부터 수입해 쓰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국내 센서 산업체들은 MEMS의 연구경험이 있는 KAIST, 연세대 등 연구기관과 산학협력 등을 통하여 압력 센서 등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노력을 배가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MURATA MANUFACTURING CO., LTD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15
권(호)
WO20150107453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35
분석자
김*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