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가속기 실의 유도 방사성 동위원소
- 전문가 제언
-
○ 일반적으로 10MV 이상 고에너지 방사선 치료 시 광핵반응을 통해 광중성자가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외국의 연구그룹에 의하면 가속기의 구성 물질에 따른 광중성자 선량을 계산한 결과, 75% 이상이 높은 원자번호의 물질로 구성된 가속기 두부와 상호작용하여 발생된다고 한다.
○ 광중성자의 생성 개수는 X-선 표적을 기준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고, 가속기 에너지가 올라가도 열중성자와 속중성자의 비율은 큰 차이가 없지만, X-선 표적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열중성자의 비율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광중성자에 의한 방사화는 열중성자에 의해 주로 일어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 생성된 광중성자는 선형가속기의 두부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로도 방출됨으로써 결국 방사선 치료실 전역에 분포하게 된다. 또한 중성자는 광자와 전자에 비해서 투과력도 강하고, 다중적인 산란현상도 유발한다. 그리고 치료실내에는 광중성자에 의해 유도된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방출하는 감마선도 존재한다.
○ 고에너지 방사선 치료 시 광중성자 및 유도된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한 영향을 줄여야 환자에게 불필요한 선량을 최소화하고 방사선 치료로 인한 2차 암 발생확률과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 국내의 경우 광자 흡수선량 분포 평가, 방사선 치료 시 중성자 선량 분포 평가, 15MV 의료용선형가속기에서 발생하는 광중성자의 선량평가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더욱 더 정량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광중성자에 의해 유도된 방사성 동위원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방사선 치료시설의 방사선 방호에서 요구되는 것은 광중성자의 방사선 가중치를 고려한 방호 개념과 그리고 광중성자에 의해 치료실 내의 유도된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할 때 방출되는 감마선에 대한 방호도 동시에 고려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Hector ReneVega-Carrill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102()
- 잡지명
-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03~108
- 분석자
- 유*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