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크릴섬유염색폐수의 처리에 대해 유기철배위자(Ferric-organic ligand)를 이용한 태양광펜톤(Fenton)반응의 강화

전문가 제언

본 연구는 “아크릴섬유염색폐수의 처리에 대해 유기철배위자(Ferric-organic bigand)를 이용한 태양광펜톤(Fenton)반응의 강화” 주제하에 강화된 태양광펜톤반응에 의한 합성아크릴섬유염색폐수의 처리를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펜톤공정이 최상의 결과를 나타내어 아크릴섬유염색폐수에 대해 87%의 무기화를 실현하였고, 섬유염색폐수의 생분해성이 광펜톤중에 크게 증진되었음이 제시되고 있다.

 

섬유염색공정은 다량의 물을 소비하며 폐수배출량이 많은 특징을 지닌다. 섬유염색폐수는 유기물농도가 낮지만 탈색이 잘 되지 않는 염료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색소화합물, 조염제, 계면활성제 기타 각종 유기화합물 등과 같은 난분해성물질을 함유하여 그 처리에 어려움이 있고, 큰 환경우려가 생기게 된다. 태양광펜톤반응은 과산화수소와 철분이 반응해 활성산소의 하나인 히드로시래디칼(Hydsoxyl radical)로 변환하는 반응이다.

 

섬유제품의 고품질화와 다양한 수요에 따라 섬유염색공정에서 여러 종류의 염료가 사용되어 오염물질과 유독성물질을 함유한 염색폐수의 대량 배출이 예상되기 때문에 염색폐수처리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종전에는 섬유염색폐수처리는 화학적,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이 제시되어 그에 의거하였으나 최근 산업폐수에서 고급처리기술로 가장 많이 적용된 고도산화공정의 하나로 태양광펜톤반응공정이 부각되고 있다.

 

태양광펜톤반응에서는 더 많은 양의 히드록시래디칼이 생성되어 독성유리물산화를 가속시킨다. 우리나라는 섬유염색폐수의 분리/화학적/물리·화학적/생물학적/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염색폐수가 정화, 배수되고 있으며, 염색폐수를 줄이는 디지털날염이 확산되고 있으나, 경제적 효율적인 염색폐수처리기술면에서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광펜톤공정의 촉진 및 생물학적 방법의 결합에 의해 난분해성유기물질을 포함하는 염색폐수의 새로운 처리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저자
Petrick A. Soare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52()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20~131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