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탄소열환원법에 의한 희토류자석 슬러지의 리사이클 기술

전문가 제언

자석재료는 1952년도 미국 Philips사에 의해서 Ba ferrite가 발표된 이후 63년이 경과한 현재 6방정계(hexagonal sysytem) 페라이트자석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량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세계에서 생산되고 있는 각 종 자석재료가 점하는 중량비율은 95%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페라이트자석이 대량 사용되는 이유는 비용성과가 탁월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지구환경에 대한 안전성이 높기 때문이다.

 

21세기에 이르러 지구환경문제가 이슈화한 가운데 자동차의 배기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그리하여 친환경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화제를 모은 차종이 하이브리드차(이하 HV)이다. 이 HV차는 영구자석모터가 채용되어 성능향상은 물론 연비향상을 가져와 배출가스를 크게 저감하고 있다.

 

본 보고에서는 R-Fe-B계 영구자석가 산업용으로 다방면에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슬러지와 사용 후 제품에 포함된 희토류원소가 선철로 분리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오늘날 희토류금속이 첨단제품에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희토류 확보를 위해 2003년 중국 시안(Xian)에 한·중 합작으로 희토류 가공법인(시안맥슨신재료유한공사)을 설립하여 매년 약 1000톤의 형광 및 연마재용 희토류산화물을 수입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도 희토류원소가 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2013년까지 홍천, 충주, 울진, 단양, 무주, 양양 등 전국의 주요 광화대를 정밀 탐사한 이후, 전국으로 확대해 2020년까지 국내 희유금속 광산탐사를 확대할 계획을 수립한 것은 기대할 만한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에도 희토류금속이 포함된 자동차, 산업용기계, 전자기기 등 이 부존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국내에 산재한 사용후 기기중의 자성재료 특히 희토류금속의 회수?분리?재활용기술개발이 필요한 때이고 산학연이 함께 기술개발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저자
Hiroyuki Ho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63(7)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0~45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