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공학적 조직의 생리적 적합성 개선 전략들
- 전문가 제언
-
○ 조직공학에서 생리적으로 적합한 조직 제작의 목표는 제작한 조직들에 대한 약물치료에서의 효능과 독성의 시험, 인간의 조직발생과 질병의 연구 그리고 재생의학(조직이식)에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형태적 및 기능적으로 원래 조직과 유사한 살아있는 조직구조물을 in vitro에서 생산하여야 한다.
○ 이 리뷰는 ‘생리적 적합성’이 서로 다른 정황들에 따라서 그 정의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조직공학에 의한 구조물들의 생리적 적합성 개선 전략들에 대해 알아본 것이다. 특히 성숙세포들이 생체 내 기능과 더 근접한 안정적 생물학적 기능들을 갖는 전략들을 조직배양 기간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 연구자들은 조직공학적 조직구성물의 생리적 적합성 개선을 위한 공통적 전략들로 ①생물학적 정황(ECM, 맥관계 및 세포형)의 개괄, ②화학적 자극들(성장인자, 조절인자, 약물 등), ③기계적 자극들(생물반응기), ④공간적 단서들(세포의 3D 배양) 및 ⑤적절한 배양기간의 최적화가 고려되어야만 함을 제시하고 그 현황과 개선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 특히 연구자들은 조직배양의 시간적 요인(배양기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사용 목표에 따른 조직배양기간의 선택과 그에 따른 조직배양 플랫폼과 배양세포원의 선택과 그 장단점을 설명한다. 더 나아가 적절한 배양기간을 평가할 수 있는 비-파괴적 모니터링 전략들(배양세포들이 분비하는 인자들과 대사산물의 측정, 비-침투성 영상기술에 의한 세포와 기질들의 형태적 변화 추적)의 필요성과 개선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국내의 조직공학 관련 연구자나 종사자들은 그리 많지 않으나, 그들의 연구 및 기술 수준은 선진국 수준이다. 조직공학(세포공학) 분야 연구자들과 관련 생명공학 제품 개발 및 제작업에 종사하는 연구자들과 기술자들에게 이 리뷰는 조직공학 및 배양공학 기술개발과 제품개발 전략을 세우는데 좋은 활용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저자
- Rosalyn D. Abbott and David L. Kapl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3(7)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01~407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