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채광작업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도구

전문가 제언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의 사업계획을 수립하려고 할 때에 그 사업의 시행이 환경에 미치는 환경영향을 미리 조사·예측·평가하여 해로운 환경영향을 피하거나 줄일 수 있는 환경보전 방안을 강구하는 것을 말한다. 토석·모래·자갈·광물 등의 채취사업은 환경영향평가를 해야 하는 대상사업이다.

 

채광작업은 낙반, 출수, 가스 및 탄진 폭발, 자연 발화, 발파 등과 같은 갱내외에서 재해가 발생한다. 특히 갱 내에서는 채굴 및 운반에 필요한 기계, 기구, 화약류가 사용되어 재해가 일어나기 쉬운 환경에 있다.

 

근년에 들어서면서 채광 작업의 가장 큰 난제 중의 하나는 환경을 해치지 않고 영구적인 악영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광물자원을 생산하는 것으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대표적인 환경영향으로는 지형의 풍경훼손, 지반침하, 지하수 오염, 폐기물발생, 산성수 유출 등외에 일시적인 영향에는 소음, 먼지, 발파영향, 에너지소비, 이산화탄소 배출 등이 있다.

 

특정 채광작업의 잠재적인 환경영향은 광석과 암반, 지질학적 및 지질공학적 변수들, 생산방식, 생산되는 폐기물의 속성과 양(고체, 액체, 기체), 지역 환경의 속성과 취약성 등 다양한 지역적 요인들에 크게 좌우된다.

 

2014년 우리나라의 전국적인 가행광산은 371개로 기록되고 있다. 고령토광산(112), 석회석광산(104), 규석광산(29), 납석광산(21), 장석광산(19) 등으로 대부분 중소 규모의 비금속광산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광물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하여 이들 광산에 대한 기존의 표준 환경영향평가 외에 다양한 지역적 요인을 고려한 지역전략 영향평가 도구를 보완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저자
Jorge Castilla-Gomez, Juan Herrera-Herbert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6()
잡지명
Minerals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7~96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