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의 적용 지연과 IT 인력
- 전문가 제언
-
○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하는 개념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면 기관이나 기업, 단체가 전산설비를 직접 구축할 필요 없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상공간의 자원을 필요한 만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최근 모든 규모의 비즈니스에 대하여 합리적인 비용으로 액세스가 가능하게 되고 있다. 또한 새로운 IT 기술개발로 클라우드 컴퓨팅 성장에 도움이 되었지만 초창기 성장은 기대만큼 이뤄지지 않았다.
○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에 장애가 되는 요소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지만 주로 고려되는 사항은 보안과 데이터 보호 및 IT 인력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에 대한 거부감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제 기업에서는 공개형 클라우드(public cloud)보다는 폐쇄형 클라우드(private cloud) 수요가 높은 실정이다. 전체 클라우드 시장에서 폐쇄형 클라우드가 83.2%를 차지하고 있다.
○ 기업들은 이미 기존의 가상화 서버를 폐쇄형으로 전환하고 있고, 공개형 클라우드와 결합한 혼합형 클라우드(hybrid cloud)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폐쇄형 클라우드나 혼합형 클라우드에는 클라우드 전문가가 필요하며, 국내의 경우 SI(System Integration) 회사에서 이러한 목적의 클라우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 국내의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성화를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법이 2015년 3월 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9월부터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 국내 클라우드 산업규모를 5,200억 원 수준으로 추정하고 향후 2017년까지 1조6천억 원 규모로 연평균 45% 선장을 전망하고 있다. 해외 시장조사기관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에 의하면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이 2013년 457억 달러에서 2018년 1,275억 달러로 연평균 23%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미래 성장산업으로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산업체의 개발노력이 요구된다.
- 저자
- Muhammad H. Raz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52()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114~1119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