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작업 지원용 착용로봇
- 전문가 제언
-
○ 최근 국제적으로 착용로봇(wearable robot)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복지차원의 수요증가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작업자지원용 로봇에 대한 잠재수요 전망 때문이다. 에에 따라 특허출원건수도 증가추세며, 우리나라 산학연의 착용로봇 연구와 특허출원도 활발한 편이다.
○ 이 특허출원은 미국 MIT가 출원한 수작업지원 착용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어깨부위에 착용(장착)하고, 작업자의 팔과 로봇 암을 고정시켜 컨트롤러와 센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로봇 암을 작업자의 작업의지와 연계하여 인공지능형태로 제어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 특허의 주 청구범위는 1) 작업자의 어깨부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로봇 암, 2) 작업자의 상체와 팔의 운동(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3) 작업자가 수행할 작업을 검출하고 로봇 암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로 되어있다. 1)은 착용로봇의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며, 2)와 3)은 감지와 제어, 즉, 시스템의 지능화에 관한 것이다.
○ 착용로봇 연구와 특허출원의 상당수가 각종 중증질환자, 노약자를 위한 재활용, 또는 근력지원용이며 기구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데 비해 이 발명의 청구내용은 센서와 컨트롤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이 특징으로 국내 연구개발, 특허 출원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시한다. 특히 착용로봇의 지능화와 관련한 특허출원에서 감지와 제어에 대한 새로운 로봇 암의 운동계산식을 강구해야 한다.
○ 우리나라의 착용로봇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지만, 대체로 대학의 석/박사 학위논문 중심, 환자와 노약자의 근력지원용, 기구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산업계에서는 LIG넥스원, 대우조선해양, KNR시스템,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현대로템 등이 산업용 착용형 로봇과 제어방법에 관한 특허를 활발히 출원하고 있다. 향후 착용로봇기술 분야에 지능형 로봇 연구결과의 적극적 이전활용과 실용화촉진을 기대한다.
- 저자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USA)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0627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8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