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무인항공기의 안전한 제어 및 회수방법

전문가 제언

무인항공기(UAV), 또는 드론(drone)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자율비행이나 무선 원격조정에 의해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미국을 위시하여 이스라엘, 프랑스, 독일, 영국, 러시아, 한국, 일본, 중국 등이 경쟁적으로 드론을 개발하고 있으며, 군사용 외에 민간용(농산물 작황조사, 농약살포, 기상관측, 밀입국 감시, 국토·해양감시, 재해복구 등) 상업용으로 응용 가능하여 새로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UAV는 무인으로 기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율비행하거나 원격조종에 의해 비행하므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안전비행을 위한 정확성과 신뢰성이 제일 중요하다. 이 특허는 UAV의 안전비행과 프로그램이 실패할 징조가 나타날 경우 안전하게 회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한 것으로 UAV의 안전비행에 응용될 것으로 본다.

 

이 특허에서 UAV내 신뢰성 있는 제어 시스템은 기내 메모리에 제1, 2 프로그램의 1개 이상 컴퓨터 프로세서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프로그램은 UAV의 센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2 프로그램으로 보내고, 2 프로그램으로 송신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센서 데이터의 정확도 수준을 파악하며, 주어진 시간 간격에서 정확도가 임계정확도 이하로 낮아지면 UAV의 회수 작업을 시작한다.

 

한국은 UAV 기술 수준이 세계 7위이며 UAV 관련 특허 건수는 미국, 유럽, 다음으로 세계 3위이다. ADD,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서울대, 부산대, 한국항공우주산업 등이 많은 관련특허 출원을 하고 있으며, 2014ADD가상영상을 이용한 무인기 조정장치 및 방법을 출원하여 무인기의 상태정보를 가상영상으로 생성, 무인기 조정에 활용했으며, 2012년 한국항공우주산업은 무인기 비행제어 소프트웨어 검증방법을 출원하였다. 국내의 ITC 수준으로 보아 이 특허와 대등한 수준의 국내 특허가 출원될 수 있으며 독자적인 UAV의 안전운행과 회수방법이 개발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Kespry, In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WO20150108586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32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