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탈질에 의한 폐수의 질산염제거: 박테리아 OGA 24 이용
- 전문가 제언
-
○ 질산염 소스는 자연계의 순환과 인간 활동, 즉 가정 및 공장의 폐수배출, 매립, 동물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등이다. 환경에 배출되는 질소 성분은 인간과 동물에게 위해가 되고 있으며, 질산염의 오염과 처리는 세계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당면 문제가 되고 있다.
○ 질산염이 강의 부영양화와 대수층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물에 분산되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질산염 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유망기술로 탈질박테리아를 이용하는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가 현재 주목을 받고 있다.
○ 질산염을 제거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물리화학적 기술과 생물학적 기술 또는 두 기술의 조합이 있다. 생물학적 탈질방법은 질소 성분의 농도가 낮을 때 적절하며, 무산소 조건에서 박테리아의 호흡 프로세스에 의하여 탈질이 이루어진다.
○ 본 연구는 이태리 남부 사르노 강의 심하게 오염된 물에서 분리한 박테리아, Azospira sp. OGA 24의 탈질 특성과 유효성을 조사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균주는 무산소 회분식 실험에서 질산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였으며, 아염소산염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었다.
○ 탈질프로세스에서 많은 종류의 박테리아와 그들의 조합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는 대체 미생물의 모색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OGA 24는 질산염과 과염소산염을 동시에 제거하는 데에 유효하므로 특정한 환경조건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탈질에서 박테리아농도, 온도, pH 등의 영향에 대해서는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도 담수의 부영양화로 녹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갈수기에는 식수공급에 차질을 줄 정도이다. 우리나라의 하수처리장은 다양한 고도처리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나 탈질효율이 낮은 편이므로, 박테리아를 이용하는 탈질기술의 도입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요망된다.
- 저자
- Federico Ross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7()
- 잡지명
- Wat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1~62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