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기물 에너지화 플랜트의 염소침적현상과 특성조사

전문가 제언

폐기물 에너지화는 현대생활에 폭증하고 있는 쓰레기들을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로써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생활폐기물의 대부분을 매립에 의존해 왔으나 매립지의 부족과 침출수와 분진에 의한 토양과 지하수 오염문제로 제한을 받고 있다.

 

폐기물의 소각과 열분해는 열 이용은 물론이고 가스화, 발전용으로 활용되는 점에서 선호되어 왔으나 유해성 배기가스와 염소, 유황, 칼륨, 그리고 칼슘 등이 혼입되어 공해문제를 야기하며 특히 염소는 열분해시스템에 부식을 가져와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폐플라스틱은 현대생활에서 종이류와 함께 도시고형폐기물(MSW)에 다량 포함되어 있다. 이 폐플라스틱을 소각하였을 때 열량이 많아 에너지 전환에 장점이 있지만, 염소성분이 함유되어 발전과 열분해 시스템에 부식뿐만 아니라 타르가 발생되어 처리공정에 장애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생산된 사업장 폐기물은 201036만 톤이었지만 2013102만 톤으로 증가했으며, 도시폐기물연료(SRF)201116,374톤에서 2014년 약 17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2008년부터 수립돼 시행되는 폐기물 에너지화 종합계획에 따르면 2013180만 톤인 가연성 SRF 생산량을 2020년까지 460만 톤으로 늘릴 계획을 세워놓고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다.

 

플라스틱은 포장재로써도 국내외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농어업용으로 과일, 야채, 생선, 온실용 부자재, 어망 등 많은 분야에 플라스틱이 보급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하여 그에 따라 폐기하게 될 많은 폐플라스틱의 활용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저자
Guanyi Che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40()
잡지명
Fue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17~327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