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면역글로불린(non-immunoglobulin) 스캐폴드(scaffold) 단백질의 기능과 활용에 관한 고찰

전문가 제언

비면역글로불린 스캐폴드 단백질(scaffold protein)은 질병 치료용 및 진단제로 개발 가능성이 아주 높은 차세대 바이오의약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 단백질은 의료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체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크기가 작아 조직 침투성이 훨씬 수월하며, 체내 지속기간이 길고, 안정성이 높다. 이외, 생산비가 기존 항체에 비해 낮으며 반응 특이성을 보다 다양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등의 강점들이 있다.

 

스캐폴드 단백질의 활용 목표는 주로 암과 염증성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 10여 종의 비면역글로불린 스캐폴드 단백질이 개발되어 임상시험 중에 있거나 사용이 허가되었다. 몇몇 종류의 스캐폴드 단백질은 체내 및 체외 진단 분석을 위한 분석용 기기에 활용되거나 기초 연구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현재 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체나 다른 단백질들은 면역원의 발생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지만 비면역글로불린 스캐폴드 단백질은 이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안고 있는 기존 단백질 치료제의 대체물질로 활용이 가능하다. 가장 최근에 소개된 7(Adhiron, Alphabody, Centyrin, DARPin, Obody/OB-fold, Pronectin, Repebody)의 스캐폴드 단백질들이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유전성 혈관부종 치료용으로 개발된 DX88 (Ecallantide)은 허가된 유일한 스캐폴드 단백질 제품이다.

 

비면역글로불린 스캐폴드 단백질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항체에 비해 연구 기반이 빈약한 편이다. 글로벌 메이저 회사에서는 항체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이 경쟁적으로 수행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이에 관한 연구가 다른 바이오의약 분야에 비해 관심이 덜한 편이다. 기존의 항체치료제 및 진단제가 차지하는 세계시장 규모는 약 750억 달러로 추산되며, 국내 시장도 계속 확장되고 있기 때문에 기존 항체 시장의 대체물로 이 스캐폴드 단백질은 중소 제약 산업체에서도 도전해 볼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Katja Skrlec, Borut Strukelj, Ales Berlec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3(7)
잡지명
Trends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08~418
분석자
정*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