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위장관의 미생물총과 감염

전문가 제언

인간의 몸에는 약 10조개의 세포가 있는데 우리 몸 안팎에 살아가는 미생물을 모두 합치면 100조개가 넘는다. 그 무게만 최대 4.2 kg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거대한 미생물총이 우리 몸을 뒤덮고 있다는 것이 알려진 것은 1990년대의 일로, 어떤 학자들은 이 미생물총을 잊혀진 기관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우리 몸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나 중요도, 여러 기능들을 생각하면 하나의 독립적인 기관 혹은 장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의 후원으로 진행되고 있는 인간 미생물총 프로젝트(human microbiome project)는 단순히 미생물총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을 넘어 특정 질병이나 건강상태와의 연관성도 연구하고 있다. 미생물총과 건선,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 아토피, 비만의 관계 등 다양한 질병들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있다. 이외에도 당뇨, 근위축증,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즘 관절염, 일부 암으로까지 그 연결 분야가 확장되고 있다.

 

미생물총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면서 우리 몸의 면역계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점이 부여되고 있다. 기존의 생각은 우리의 세포, 조직, 장기가 합심해서 우리 몸에 있는 미생물들을 몰아내는데 집중하고 있다는 견해였다. 하지만 우리 몸 안에 수많은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고, 이 미생물과의 공존이 일반적이며 더 나아가 필수적인 것이라면 미생물을 몰아내는 것은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면역계가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면역계가 미생물의 조종을 받기도 한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윤상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특히 장내 공생미생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1세기 의과학 연구는 인체의 생명현상을 인간의 유전자 및 유전체에서 비롯된 현상을 분석하는 수준을 넘어, 인체 내에 공생하는 다른 계(kingdom)의 생명체들과의 상호작용(inter-kingdom interaction)을 통해 나타나는 생명현상을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이른바 'One-Health System'의 개념이 부상하고 있다. 인체 친화적 질병 치료를 위한 장내 공생미생물 연구의 국민적, 국가적 관심을 기대해 본다.

저자
Jhansi L Lesli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23()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1~125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