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B형 간염바이러스의 감염에서 숙주-바이러스의 상호작용

전문가 제언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아시아, 중국,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에서 주로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인구의 58%가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감염된 어머니에서 자식으로 출산 전후 또는 신생아기에 전염되는 수직감염이 주요 전파 경로이다. 특히 영유아기에 감염되었을 경우 만성화율이 높아서 90%에 달하며, 성인이 되어 감염될 경우에는 만성화율이 10% 이내이다.

 

우리나라는 B형 간염바이러스 만연 지역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B형 간염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다. 실제로 20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50% 이상에서, 특히 40세 이상에서는 70% 이상에서 B형 간염바이러스가 몸 안에 들어왔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20세 이상의 성인에서 자연적으로 B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항체를 갖고 있는 비율이 4050%나 된다.

 

우리나라에서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이렇게 높지만 현재 백신 접종이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자수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B형간염 예방백신의 개발은 B형 간염바이러스의 발견과 함께 의학사의 큰 업적이며, 특히 우리나라의 서울 의대 김정룡 박사님이 이 분야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만성 B형간염의 예후는 다양하다. 환자들 중에는 간으로 인한 별 문제 없이 천수를 다 누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와 같은 B형간염 만연 지역과 미국이나 서구의 환자들과 예후가 다르다. 구미에서는 대개 30% 정도의 환자가 간경변증으로 진행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20년 동안에 만성 B형간염 환자의 60%가 간경변증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BV 감염의 결과는 숙주-바이러스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감염된 간세포의 HBV cccDNA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숙주의 획득면역반응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HBV-특이 CD8+ T 세포의 역할이 주목되고 있다.

저자
Luca G Guidott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6()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1~66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