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형물체 영상용 X선 전산화 단층촬영 시스템: 강화된 단층촬영 해법

전문가 제언

의료용 전산화 단층촬영(CT: Computerized Tomography)과는 달리 소형 CTX선 표적의 직경이 크기이며 작은 물체의 내부 구조나 비파괴 검사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소형 CT의 해상도는 보통 수십수준이며 검출기는 섬광체 스크린과 전하결합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CT는 본래 의료용으로 발전해 왔기 때문에 환자는 그대로 있고 X선 장치와 검출기가 회전하지만 물체 혹은 비파괴 검사용은 물체가 회전되고 X선 장치와 검출기는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물체를 회전시키더라도 기존의 CT 영상재구성 알고리즘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CT 영상 획득의 다양한 변수 중 관 전압 등과 더불어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은 화질에 큰 영향을 준다. , CT 영상 획득 후, 검사 부위와 검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재구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야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다양한 국내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CT 영상 재구성법에는 Fourier 변환, Fourier 변환, 합성곱 역투영법, 필터보정 역투영법, 반복적 재구성법 등 여러 가지 수치해석 방법이 있으나 이 중에서 필터 보정 역투영법이 가장 널리 쓰이는 재구성 기법이다. 반복적 재구성 기법은 필터보정 역투영법보다 적은 방사선량으로서 동등한 화질의 영상을 재구성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는 방대한 연산 량 때문에 활용에 제한이 있었으나,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계산시간이 많이 단축되어 현재 CT 분야에서 큰 공헌을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소형 XCT 시스템 개발과 영상재구성 알고리즘에 대해 활발한 연구를 해왔다. 저선량 XCT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 성능 비교, 관 전류 조정이 있을 때 반복적 재구성 기법과 필터보정 역투영법이 CT 영상 화질 및 선량에 미치는 영향, 소형 물체 검사를 위한 고해상도 단층촬영 시스템 개발 등 의료분야나 의료외적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더 많은 객관적 자료를 확보하고 임상 시험을 수행하여 CT 시스템 상용화를 앞당겨야 할 것이다.

저자
F.Kharfi, et.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101()
잡지명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3~39
분석자
유*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