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용 후 자동차 철 스크랩으로부터 합금원소의 효율적 회수

전문가 제언

철스크랩(고철)은 철광석 환원에 의한 선철과 직접환원철(DRI. HBI포함)과 함께 3대 철원으로서 세계시장의 약 35% 수준인 전기로(EAF) 공정에 의해 재활용된다.

 

철스크랩은 철광석의 환원에너지가 생략되어 CO2 발생원단위가 고로공정의 약 35% 수준이라는 점에서 철강자원 측면이아니라 최근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시행에 따른 환경자원으로 주목되고 있다. 현재 재용해에 의해 재활용되는 철스크랩은 수집과 분류에 의해 좌우되는 철스크랩의 품질이 전기로 공정의 제품력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알려져 있다.

 

철스크랩의 품질은 발생원과 사용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물리적 형상과 철강제품의 순환성 원소(Cu, Sn, Ni, Cr )의 혼입에 의한 화학적 성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철스크랩은 발생원에 따라 국내 및 수입 철스크랩으로 구분되고, 국내의 철스크랩은 발생장소와 원인에 따라 자가 발생 스크랩, 가공스크랩 및 노폐 스크랩으로 구분된다.

 

자가 고철은 철강 공정 자체에서 발생하는 고철로서 공정내부에서 자체 활용되며, 가공 스크랩은 철강 연관 산업의 가공단계에서 발생하는 고철이며 노폐 스크랩은 철강제품의 불투명한 용도와 시기, 기간 등의 발생 원인이 불투명한 스크랩이다.

 

글로벌 철강경기에 따른 세계 철스크랩의 교역은 역내 교역 이외에 수출입에 의한 역외교역으로 구분되며, 역외 교역 규모는 2012년도 기준으로 수출입이 각각 1265만 톤 및 1460만 톤 수준이다. 세계 철스크랩교역은 역내 교역비중이 높은 EU보다 주로 미국과 일본에 의한 아시아 지역으로의 수출이 주도하고 있다. 중국은 2009년에 최대 수입실적(1,369만 톤)을 기록한 이후 자체 발생량 증가 및 전력수급 불안정으로 수입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1천만 톤 규모의 비교적 높은 수입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20151월부터 6월까지 폐차수는 377,736대이다. 우리나라 조강생산량은 7,103만 톤이다.

저자
H. Ohn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00()
잡지명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20
분석자
유*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