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개발로 인한 방사선촬영기사의 안전 개선 전망
- 전문가 제언
-
○ X선 촬영이 평면 영상 기법에서 점차 3차원 영상으로 교체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의 발전이 방사선투과시험기사의 관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전산화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에서 서로 다른 기사와 그들의 관행 간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는 기술개발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상담자를 선정하여 공개 인터뷰(인원 8명)와 CT촬영 현장 관찰(10회)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는 첫째로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7개 관행으로 구분하였다. 둘째로 관행 내용을 연습이론(practice theory)으로 해석하여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 주제1: 기기가 변하면 촬영이 쉬워진다, 실제 영상 제작이 쉬워졌다. 주제2: 기기가 변하면 작업 순서와 환자의 수요 간에 마찰을 일으킨다. 기기로 영상을 촬영하는 시간이 생각했던 것 보다 짧으나, 이로 인하여 환자의 상태와 수요가 배제되어 각 환자의 계획된 치료에 어려움을 끼친다. 주제3: 재료의 변경으로 학습을 예시할 수 있다. 사용하는 각기 다른 기구와 영상 제작에 끊임없는 변화가 촬영기사의 활동과 학습에 자동 연결된다. 주제4: 방사선투과촬영은 방사선 피폭과 관련하여 환자의 안전과 의료 안전 위험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환자를 접촉하는 방사선투과촬영기사는 촬영과 관련하여 환자의 안전 위험에 관한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하여야 한다.
○ 우리나라 최초의 CT 설치는 1977년 9월로 경희 대학교병원에 미국 EMI사의 제품이 처음으로 설치되면서 부터이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하다가 2000년 대 후반부터는 증가수가 둔화되고 있다. CT촬영에는 방사선피폭이 수반되는데 우리나라에서 CT촬영으로 과-피폭된 예는 없으나, 두부(머리), 흉부 및 복부의 1회 CT촬영으로 각각 최대 2, 3 및 5mSv의 방사선피폭이 예상된다. 이는 자연방사능으로 인한 연간 피폭량을 약 3mSv로 보면, 꼭 필요한 경우에만 CT로 촬영하고 그밖에는 재래식 X선 촬영으로 검사하고, 잦은 빈도의 CT촬영은 피하는 편이 방사선 피폭을 줄이는 길이라고 생각된다.
- 저자
- L.-L. Lundvall , M. Abrandt-Dahlgren, S. Wirel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21()
- 잡지명
- Radiograph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31~235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