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개방형 미세조류 배양과정의 바이오에어로졸 발생과 잠재적 환경영향

전문가 제언

세균(박테리아 등), 진균류(곰팡이 등), 원생동물과 바이러스 등 미생물은 대기와 접촉하면서 자연적 또는 인위적 혼합과 확산으로 대기로 방출되거나 대기 중 입자상물질(또는 수증기)에 부착되어 바이오에어로졸화(0.02100)하여 대기에 부유체류(수초수주)하며 장거리(mkm) 이동한다. 풍속, 풍향, 기온과 습도 등 기상조건은 바이오에어로졸 내 미생물의 생존과 농도에 영향을 준다. 특히 세균은 풍하지역의 상대습도에, 진균류는 기온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세계적으로 바이오에어로졸은 대기 중 부유입자의 약 28%, 균체와 꽃가루는 PM2.5411%로 알려지고 있으나 PM10PM2.5에서 구성비는 연구되지 않고 있다. 바이러스 0.3이하, 세균 0.28, 진균류 130, 꽃가루 1758이며 미생물의 생존은 입자크기, 상대습도, 기온, 자외선복사, 산소독성과 오존 등 대기오염물질에 영향을 받는다.

 

미생물기원 바이오에어로졸은 전염병을 매개시키거나 직접 피부질환, 알레르기성질환, 기관지천식과 아토피 등을 유발한다. WHO는 인플루엔자 전염으로 매년 500만 명이 발병하고 50만 명이 사망한다고 보고하였으며, 최근 기온상승으로 바이러스에 의한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

 

원문은 미세조류배양과 폐수처리에 이용되는 개방연못에서 바이오에어로졸의 생성기작과 미세조류의 공생자인 박테리아, 바이러스, 섬모충, /식물성 플랑크톤 성분의 바이오에어로졸이 조류성장을 저해하고, 대기 중에서 기상영향으로 이동하여 건강과 기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상세하게 검토한 것이다. /폐수처리와 개방형 미세조류시설의 계획과 환경영향평가 때 고려할 자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서울의 비황사/황사 때 세균농도는 (691±1,134)/(803±479)CFU/로 황사에 의하여 세균이 증가하나 통계적 유의상태는 아니지만 기온과 상대습도를 포함하여 시계열 계절별로 계속적인 모니터링과 차세대 염기서열분석법(NGS) 등으로 황사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자료가 매우 부족한 바이오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Bruno Sialv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33()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79~286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