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 형상 감지를 구비한 영상 장치의 로봇 제어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은 광학적인 형상 감지 기술을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을 다루는 의료 기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간 영상 장치 제어는 로봇 수술과 중재적 시술 과정에서 영상 장치의 위치결정을 단순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카테터, 내시경, 기관지경으로 확대 응용이 가능한 본 발명은, 네덜란드의 Koninklijke Philips N.V.(영문 정식표기: Royal Philips)가 출원하였다.
○ 본 발명의 대표적인 청구 사항은 장치의 영상을 추적하기위한 시스템으로, 장치의 형상을 감지하여 장치를 시각화하도록 로봇 좌표계에 장치의 형상을 등록하고 영상 장치의 시야내로 이러한 장치를 이동시키는 로봇, 수술 영상 시스템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브, 그리고 초음파 프로브와 이차원 또는 삼차원 영상 등이 포함된다.
○ 암이나 기타 침습성 질환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종양이나 신체 조직 깊숙한 곳의 활동을 보기 위하여 고해상도 영상에 의존한다. 워싱턴 대학 공학부가 개발한 광음향 현미경(PAM)은 단일 파장의 펄스 폭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 도구는 이전의 결과보다 50배나 더 빠르게 혈액 산소포화도 영상을 촬영 가능하다. 이로 인해 살아있는 뇌의 기능을 관찰하여 질병 개발에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 최근에 초음파를 이용한 형상 인식과 위치 추적이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가령 고체 속의 형상 인식과 위치 계측에서는 의료용의 초음파 에코(echo) 진단장치나 비파괴 검사의 초음파 탐상장치 등이 이미 실용화되고 있다. 초음파에 의한 공기 중에서의 형상 인식과 위치 계측으로는 자동차의 충돌방지 장치 등이 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가상현실 속에서 하나의 가상물체를 실물처럼 맨손으로 만지고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최근에 등록을 마쳤다. 사람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센서 좌표계와 가상현실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좌표계가 다른데 거울이란 매개를 통해 이 둘을 한 좌표계로 통합/변환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히고 있다.
- 저자
- KONINKLIJKE PHILIPS N.V.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1088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7
- 분석자
- 마*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