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당뇨병 소질이 있는 쥐에서 인터루킨-1β항체의 β-세포를 보호하는 항 당뇨병 치료기작 규명

전문가 제언

2년 전 서울대 병원에서 항체를 개발, 이용하여 무균 돼지 췌도를 당뇨병 원숭이에 이식하여도 급성 면역거부반응을 방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따라서 IL-1β항체도 1형 당뇨병환자에 췌도 이식 시 발생하는 면역거부반응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60세 이상부터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노인 당뇨병이 요즘 급증하고 있다. 노화는 β-세포의 생명력, 기능(인슐린생산, 분비)을 약화시켜 노쇠한 β-세포로 인한 노인형 당뇨병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IL-1βAb을 사용하여 β-세포의 노쇠를 방지하거나 노쇠한 β-세포를 제거함으로서 노인형 당뇨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서 췌도 주위에 IL-1β를 발현하는 대식세포들이 침투함으로서 췌도의 미토콘드리아 호흡연쇄효소 COX의 활성감소와 당 축진 인슐린 분비의 억제를 보였다. 따라서 췌도 주위를 침투한 대식세포들이 생성, 분비한 IL-1ββ-세포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일련의 악화연속(Vicious sequences)를 작동시킨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따라서 항IL-1β치료는 이 악화연속 단계를 끊어서 침투하는 대식세포들의 수와 활성을 감소시켜 정상적인 췌도 구조유지와 β-세포 기능장애를 방지한다.

 

2형 당뇨병은 관리하지 않으면 악화하는 데 이 악화에 관여하는 요인은 지방조직에 있는 면역세포들이 생산, 분비한 사이토카인들 중 일부인 IL-1β 직접 β-세포 사멸을 촉진하기 때문에 β-세포량이 감소하여 인슐린 분비량도 절대적으로 부족해져 2형 당뇨병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면 인슐린을 투여해야한다. 이 마지막 단계로 진행을 막으려면 β-세포 사멸을 방지해야 하는데 이런 당뇨병치료제가 없어 비만을 치료하거나 식이요법, 운동요법을 권하는 수준의 치료가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비록 쥐 실험이지만 β-세포 사멸을 방지하여 2형 당뇨병의 마지막 단계인 인슐린 의존형으로 진행을 막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물론 IL-1β 외에도 많은 사이토카인들이 β-세포 사멸을 일으키기 때문에 IL-1β항체 외에도 다른 사이토인의 항체들의 효과도 더 검증해야 한다.

 

저자
Genya Aharon-Hananel,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64()
잡지명
Diabet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780~1785
분석자
윤*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