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 방식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한 재조합 단클론항체의 정제 공정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 제품으로 단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mAb)는 치료용과 진단용으로 크게 나눈다. 치료용 mAb의 경우 전 세계 시장 규모는 2011년에 약 44.6조 원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나아가서 이 약품의 수요 증가율은 연간 5.3%에 이르러, 2016년에는 58조 원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치료용 mAb 이외에도 막대한 진단용 시장을 고려할 때 mAb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는 매우 크다.
○ 특히 근래에 실험동물에 대한 규제의 증가로 인하여 단클론항체를 생산하기 위한 주 생산 기반이 실험동물에서 세포 배양계가 되고 있다. 많은 경우 Chinese Hamster Ovary(CHO)를 사용하여 재조합 단백질 단클론항체를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세포배양 생산 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기술은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정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방법을 대신할 3가지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한 정제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 소개 논문에서는 CHO DP12 세포주에서 생산된 재조합 단클론항체를 정제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3가지 단계로 평가하였다. 각 단계에서 가장 효율과 순도가 높은 최적화 조건들을 찾아내고 이들에 대한 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를 찾아내고 있다. 각 단계별 불순물의 제거율은 94%에서 99%에 이르고 있어 치료용 단클론항체로의 최종 요구 수준을 충족하고 있다. DNA 제거의 경우는, 첫 단계에서 10배, 세 번째 단계에서 100배를 감소시키는 효율을 나타냈다.
○ 실제 세포 배양에서 단클론항체를 정제하는 경우 숙주세포 단백질들이 함께 정제될 수 있다. 소개하는 논문에서 사용한 두 종류의 혼합 모드를 사용할 경우, 각 단계에 특이적인 매우 양호한 특이성을 보여주었고 마지막 단계의 세척과정도 양호한 오염물질의 제거 효과를 보여 기존의 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천된다. 세포배양 상에서의 각종 단백질을 정제할 때 이 방법을 시도해 볼 가치가 있다.
- 저자
- Sophie Mari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1393()
- 잡지명
- Journal of Chromatography 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7~64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