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세 전기분해 전처리를 이용한 섬유염색 침전물의 탈수성 향상

전문가 제언

오늘날 섬유염색침전물(Sludge) 생성량이 폐수처리의 과정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섬유염색침전물의 처분이 그 운반과 취급비용(총 운영경비의 60%까지 차지) 때문에 폐수처리에 큰 도전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미세전기분해 전 처리를 이용한 섬유염색침전물의 탈수성향상”의 주제하에 미세전기분해처리가 섬유염색침전물탈수와 그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미세전기분해가 섬유염색침전물 덩어리 구조를 파괴함으로써 침전물탈수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었다는 것이 제시되었으며, 침전물탈수의 최적조건들을 20분의 반응시간, 2.5의 초기 pH, 1/1의 철/틴소질량비와 2.50g/L의 철분말투여량으로서 양호한 모세흡입시간과 침전속도감축효율을 실현하였다는 것이 보여졌다. 이외에 처리된 침전물덩어리가 분해되고 확산정도가 원 침전물표본의 그것보다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침전물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관심이 크게 부상하고 있다. 특히 염색폐수침전물의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위생문제야기, 인체위해, 생태계파괴, 환경오염을 유발할 위험성이 커짐에 따라 침전물의 탈수성(Dewaterbility)을 향상함으로써 침전물의 수분과 부피를 감량화하여 운반 및 처분비용을 낮추고 보조연료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침전물탈수가 폐수처리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고, 전 세계적으로 그 처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산업폐수침전물발생량이 연간 395만 톤이고, 그 중 섬유염색폐수침전물은 56만 톤이 된다. 현재 침전물탈수방법에는 진공여과, 가압여과, 원심분리, 천일건조 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미세전기분해처리법이 가장 유망하다. 그간 우리나라에서는 필터프제스 등 침즌물탈수방법의 개발, 적용추진이 있었으나 최근 염색산업침전물탈수화에 대한 연구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산업유기성침전물인 섬유염색침전물의 발생단계에서 탈수효과를 높여 탈수침전물의 함수율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개발과 이에 대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저자
Xun-an Ni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61()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1~187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