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형주물 및 연속주조재를 소재로 한 오스템퍼 구상흑연주철의 절삭성

전문가 제언

난삭성의 여하와 달리 절삭성에 불균형이 크다는 지적이 많다. 이 원인으로 예를 들면 오스템퍼처리 후의 ADI의 성질이 같아도 오스템퍼처리 전의 상태가 절삭성에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 때문에 ADI의 절삭성을 검토하는 경우 오스템퍼처리 자체의 검토는 하지 않고 이제까지 거의 검토되지 않았던 오스템퍼처리 전의 상태 즉, 주조방법의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ADI-S ADI-C 어느 경우에도 가공면의 흑연은 거의 탈락하는 상태였다. 기지부에 관해서는 어느 경우에도 가공면에 명료한 가공변질층과 같은 것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런데 절삭저항도 크고, 칩의 단면조직관찰결과에서도 비교적 큰 변형이 관찰된 것으로 보아 가공면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하겠다.

 

ADI의 절삭성에 관한 보고에서 ADI가 난삭성을 나타내는 이유로 잔류오스테나이트의 존재를 지적하고 있다. ADI중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잔류오스테나이트가 절삭 시에 스트레인으로 기지부가 가공유기 마르텐사이트화 하기 때문에 난삭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도 자동차, 조선 및 산업기계 등의 분야에서 부품의 경량화, 원가절감을 위하여 주강 및 단조강재의 부품을 대체하여 오스템퍼 구상흑연주철(ADI)의 사용량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사용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절삭성의 향상을 위한 주조방법 및 열처리법의 개선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저자
Akihiko Ikut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87(4)
잡지명
鑄造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31~238
분석자
김*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