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BLE 커넥션을 이용한 긴급신호 발생 솔루션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시스템은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과 쉽게 통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급상황 발생 시 빠른 응답을 통해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특히 강도, 성폭행 등과 같은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위급상황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이 기술은 단 한 차례의 경보신호로 주변의 여러 사람과 관련 기관(경찰서, 소방서, 응급구조센터 등)에 위험상황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즉각 통지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집단따돌림이나 폭력에서부터 살인사건까지 높은 응답속도를 나타낼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인 스마트폰의 BLE 커넥션을 통한 원격 서버에 응급호출 신호전송 기술은 해당 무선시스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현재 기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특정한 동작을 초기화해야 하는 과정이 있다. 이를 개선하여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과 관계없이 인터럽트(interrupt)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위급상황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 이 기술의 핵심은 시각장애인 같은 사회적 약자들이 위급상황을 당했을 때 단 한 차례의 경보신호로 주변의 여러 사람과 관련 기관에 위험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것이다. 이로써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국내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성 위급상황 경보발생 플랫폼이나 앱(Application) 개발 분야에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스마트 시대 첨단 과학기술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건강(55.8%), 가족·인간관계(14.2%), 소득증가(12.7%), 생활·주거안정(10.3%)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 미디어로 인해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기대수명은 2040년이 되면 남자가 83.4세, 여자가 88.2세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2012. 6. 22일 통계청 보도자료). 이에 이 특허기술과 같은 스마트 미디어 인프라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험관리 및 건강관리 등을 추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서둘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u-시티(스마트 시티) 구축 기반이 될 수 있어 국내 관련 기업(스마트 모바일 콘텐츠 개발사, 의료기기 개발사, 모바일 통신사 등)의 핵심기술(서비스) 개발이 절실하다.
- 저자
- KIRKPATRICK III, William Richar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5450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6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