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P를 이용한 운동량 기록관리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은 특화된 CIP 플랫폼을 통해 일반인의 건강과 운동선수의 운동량 기록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처리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 미디어기기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NFC장치 및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점이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이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내 고령화로 인한 노년층의 건강관리와 전문 운동선수의 효과적인 기록관리를 통한 경기력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 파급될 수 있을 것이다.
○ 이 기술의 핵심인 CIP의 하드웨어 구조는 ID모듈/PMU/통신모듈/메모리로 구성된 프로세싱 모듈(a)과 NFC장치/RFID모듈/메모리로 구성된 과금처리 모듈(b)의 듀얼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이는 데이터 처리와 과금 및 전송기능을 확실히 구현할 수는 있으나, 데이터 트래픽 급증 시 모든 네트워크 리소스가 구동되면서 CIP 플랫폼의 처리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도 있다. 이를 개선하여 데이터 처리모듈과 전송모듈의 동작을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하여 더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 2017년 모바일 헬스케어 글로벌 시장은 230억 달러의 대규모 시장을 형성하며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아울러 스마트폰 앱과 같은 활동량 측정기를 통한 2016년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장은 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2017년까지 약 1억7,000만대의 기기가 보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저렴한 가격과 편리한 휴대성을 갖춘 스마트폰과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들이 연계되면서 시장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에 국내 관련 기업들의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원천) 기술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유무선 통신망 인프라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질병의 예방 및 치료, 건강 및 생활관리 등 개인맞춤형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u-헬스를 위한 생체정보 감지기술 및 생체생활정보 분석기술, u-헬스 서비스 기술 등의 표준화 항목을 설정하여 국가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 저자
- CLOUDGYM SWEDEN AB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3805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1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