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에 따른 유동적인 바이오가스 생산 ? 원료의 공급전략과 형태
- 전문가 제언
-
○ 독일은 탈-원전을 선언한 후 원자력발전소를 폐쇄해나가고 있기 때문에 수력이나 화력 등 다른 에너지에서 전력을 얻어야 한다. 이 자료는 대체전력원으로 개발되고 있는 혐기성 소화공정의 바이오가스를 수요에 맞추어 유연하게 생산하여 공급하는 경우를 검토하고 있다.
○ 독일의 탈-원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전 유럽의 배전망이 연결되어 있어 원전비율이 세계 1위인 프랑스의 전력을 공급받고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독일은 원자력이 생산한 전기를 끌어와 쓸 수 있지만 원전 운용에 따른 리스크는 피하겠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도덕적 측면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다.
○ 바이오가스를 발전연료로 하여 전력을 공급하자면 그 생산량을 수시로 변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전력수요가 수시로 변동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이오가스로 발전을 하면 전력공급이 취약해진다는 것이 이제까지의 정설이었다. 실제로 바이오가스의 생산단계는 정상상태를 유지해야 가장 유리하다.
○ 이 자료는 사탕무, 옥수수, 가축분뇨 슬러리 등의 서로 다른 원료를 사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함으로써 수요에 대응하는 생산을 할 수 있음을 평가하고 있다. 이들 원료의 발효속도는 각각 다르며 사탕수수의 분해속도가 가장 빠르고 가축분뇨 슬러리의 경우가 가장 늦으며 옥수수는 그 중간수준이다.
○ 하루를 둘로 나누어 첫 1/2일은 가스의 생산 및 이용단계로 하고 나머지 1/2일을 가스 저장단계로 하여 분석하고 있다. 여기서 3가지 형태의 원료와 각각의 투입시간을 적절히 조정하면 가스 이용단계와 저장단계의 가스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자료의 연구결과이다.
○ 우리나라는 1980년대 초 농촌지역 취사용 연탄의 대체를 위해 축산폐기물을 혐기성 소화하는 메탄가스 발생장치를 개발 보급하였고 1990년대에는 이를 상업화하였다. 그러나 수요에 맞추어 바이오가스를 생산 및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시도는 아직까지 없었다.
- 저자
- Mauky, E., Jacobi, H.F., Liebetrau, J., Nelles, M.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178()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62~269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