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토층 사면의 파이프 현상이 사면파괴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토층 파이프(soil pipe)가 사면 내에 생기면 사면 지하수 거동이 변하여 사면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 사면 내에 형성된 파이프가 막히거나 아주 없는 사면에서는 파이프가 형성된 사면에 비해서 안전율이 낮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 논문은 토층 파이프가 형성되어 있는 사면 모델의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사면 내의 간극수압 생성, 침윤면 형성, 지하수 배출, 사면 거동 등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본 연구를 포함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아직 사면 파이프 효과에 대한 명확한 결론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강우 시 토층 사면 파괴는 침윤면(phreatic surface) 형성에 의해 발생한다. 본 연구 실험에 의하면 침윤면은 사면의 하단부터 시작하여 상부로 진행되었다. 3종류의 실험(no pipe, closed pipe, open pipe) 중 가장 빠르게 침윤면이 형성된 경우는 no pipe 상태이고, 열린 파이프(open pipe)에서 가장 느리게 형성되었다. 즉 사면 파괴는 열린 파이프가 닫힌 상태로 변할 때 가장 빠르게 생성되고 열린 파이프 상태에서 가장 느리게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여름철 폭우와 태풍으로 인하여 많은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산사태의 파괴 메커니즘이 강우라는 사실 외에 구체적이고 정량적 수치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채병곤 외(2012)는 불포화 토양 내에 강우침투 시 지표로부터 시간에 따른 토층의 포화 깊이의 비를 새로운 변수로 삽입하여 무한사면 안정해석을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정량화된 강수량과 시간에 따른 간극수압의 상승 속도 등은 미지수로 남겨 놓은 상태이다.

 

산불이 발생되면 토양표면에 크러스트가 형성된다(Bissonnais, 1992). 크러스트는 열에 의해 토양이 수축되는 과정에서 생기기 때문에 군데군데 파이프 형태의 통로가 생기기도 한다. 따라서 산불이 발생된 지역은 강우 시 상부토층의 침식과 형성된 파이프를 통한 물의 침투로 인하여 산사태의 발생되기 쉽다. 위와 같은 토층 내 파이프 현상도 우리나라와 같은 산불 빈발 지역에서는 연구할 필요가 있다.

 

저자
Raj H. Sharm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2()
잡지명
Landslid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45~353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