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멀웨어 탐지시스템 기술

전문가 제언

이 특허기술은 클라우드 인프라 및 이종 네트워크 연결점에서의 악영향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악의적 소프트웨어나 사이버범죄 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가치가 있다. 이 특허기술의 핵심은 국내 보안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3rd-party 제품설계에 매우 중대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특허기술의 하드웨어인 BaitNET 시스템은 침입한 악성코드를 역으로 이용하여 침입경로를 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탐지된 악성코드는 다양한 운영체제를 갖는 이종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도 있어 프록시 서버 응용프로그램 개발이나, 테스트 기능을 이용한 클라우드 인프라의 정보재생 기술개발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4년 국내 기업의 정보보호 정책수립 현황을 보면, 10%의 기업만 정보보호 정책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식문서로 작성된 정보보호 정책(개인정보보호 정책 포함)을 수립하고 있는 기업은 11.3%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74.5%, 정보서비스업이 26.0%를 차지하였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업종의 정책수립률은 20% 미만으로 낮고, 종사자 수가 많을수록 정보보호정책 수립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정보보호 정책은 첨단기술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기에 정책수립을 통해 이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책임이 있다.

 

IDC의 연구조사에 따르면, 20144분기 전 세계 보안 어플라이언스 시장은 매출액 및 출하량 측면에서 모두 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 세계 벤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6% 성장한 26억 달러로 21분기 연속 성장하였고, 출하대수는 16.7% 증가한 635,033대를 기록하며 4분기 연속 성장했다. 2014년 매출액과 출하량이 전년대비 각각 8.4%8.3% 성장하여 94억 달러와 210만 대 규모로 조사되었다. 멀웨어의 공격방법이 잠차 고도화되면서 향후 글로벌 보안 어플라이언스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이에 국내 보안 솔루션 개발기업의 세계시장 진입을 위한 특화된 제품(서비스) 전략이 필요하다.

저자
NSS LABS, IN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038775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0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