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웨어 탐지시스템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특허기술은 클라우드 인프라 및 이종 네트워크 연결점에서의 악영향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악의적 소프트웨어나 사이버범죄 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가치가 있다. 이 특허기술의 핵심은 국내 보안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3rd-party 제품설계에 매우 중대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이 특허기술의 하드웨어인 BaitNET 시스템은 침입한 악성코드를 역으로 이용하여 침입경로를 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탐지된 악성코드는 다양한 운영체제를 갖는 이종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도 있어 프록시 서버 응용프로그램 개발이나, 테스트 기능을 이용한 클라우드 인프라의 정보재생 기술개발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2014년 국내 기업의 정보보호 정책수립 현황을 보면, 약 10%의 기업만 정보보호 정책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식문서로 작성된 정보보호 정책(개인정보보호 정책 포함)을 수립하고 있는 기업은 11.3%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74.5%, 정보서비스업이 26.0%를 차지하였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업종의 정책수립률은 20% 미만으로 낮고, 종사자 수가 많을수록 정보보호정책 수립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정보보호 정책은 첨단기술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기에 정책수립을 통해 이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책임이 있다.
○ IDC의 연구조사에 따르면, 2014년 4분기 전 세계 보안 어플라이언스 시장은 매출액 및 출하량 측면에서 모두 성장세를 지속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 세계 벤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6% 성장한 26억 달러로 21분기 연속 성장하였고, 출하대수는 16.7% 증가한 635,033대를 기록하며 4분기 연속 성장했다. 2014년 매출액과 출하량이 전년대비 각각 8.4%와 8.3% 성장하여 94억 달러와 210만 대 규모로 조사되었다. 멀웨어의 공격방법이 잠차 고도화되면서 향후 글로벌 보안 어플라이언스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이에 국내 보안 솔루션 개발기업의 세계시장 진입을 위한 특화된 제품(서비스) 전략이 필요하다.
- 저자
- NSS LABS,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3877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0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