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금 부선에서 석고와 점토광물 상호작용과 효과

전문가 제언

구리 및 구리합금은 다양한 엔지니어링 재질 중 하나로서 구리가 가지고 있는 물성(강도, 전도성, 내식성, 절삭성 및 연성)은 구리를 다양한 목적으로의 사용을 적합하게 해주고 있다. 한편 금은 빛나는 노란색의 무른 금속으로 연성과 가단성이 있는 전이금속이다. 이들 금속은 지하에 매몰되어 있는 광석광물을 채굴하여 처리(선광 및 제련)과정을 통해 얻게 된다. 채굴된 광석의 선광처리를 위해서는 광석의 구성광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특성과 조직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글은 구리-금광석 부유에서 점토광물(고령토와 벤토나이트)의 상호 작용과 효과를 연구하였다. 낮은 전단속도에서 구리-금광석을 벤토나이트와 혼합할 때가 고령토와 혼합할 때보다 점도가 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유 시 카올리나이트와 벤토나이트 광물의 해로운 효과는 광석에 카올리나이트가 첨가되었을 때 점토입자들의 유입과 벤토나이트에 의한 진 부유 감소에 기인한다.

 

카올리나이트는 측정 망상구조를 형성하지 않았고 이의 응집체는 대부분 표면-표면 형에 관련으로 구성되어 부유 유체역학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광석-벤토나이트 혼합물에 석고를 첨가하는 것은 불연속적인 망상구조 형성을 방해하지 못했다. 이는 부유거동이 갖는 낯은 점도 값은 카올리나이트와 혼합물의 점도와 유사함으로 이어졌다.

 

캐나다, 미국, 일본, 중국 등의 선진국들은 자국 및 해외광물자원 확보를 위해 신장치 개발과 저비용 고효율 처리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우리보다 좋은 개발 여건을 확보하고 있다. 2013년 한국지질자원연구소에서 해외 금속광물 개발 활용연구로서 금속 품위 향상을 위한 광석부유선별 LPMF(Leaching-Precipitation-Magnetic separation - Flotation)을 수행하였으나 이 글에 언급된 석고와 점토광물에 관련된 연구는 행하지 못했다. 따라서 국내 및 해외자원의 품위 향상을 위해 앞으로 이 글에서 언급된 연구도 병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Nestor Cruz,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7()
잡지명
Minerals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1~130
분석자
조*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