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클라우드 설계 패턴
- 전문가 제언
-
○ 대기업뿐만 아니라 정부기관, 학술기관에서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가상 서버와 저장장치 등 다방면에 걸쳐 제공되고 있다. 시스템을 구축할 때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많은 설계자가 클라우드의 서비스 특성을 잘 이용한 아키텍처를 설계해야 한다. 클라우드 설계 패턴(CDP: Cloud Design Pattern)은 이러한 아키텍처에서 볼 수 있는 패턴을 모아 클라우드 설계시 재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정리한 것이다.
○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면 지금까지 생각지도 못했던 확장성 높은 시스템을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를 사용하려다 좌절하는 경우가 많으며 클라우드 특유의 장점을 살려 설계하는 경우 또한 적다. 클라우드의 장점을 살려 최적의 시스템 구축을 도와줄 적절한 가이드가 필요하며 이전과는 다른 발상을 해야 할 시점이다. 이 문헌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선두 주자인 아마존 웹 서비스(AWS)를 이용한 ‘클라우드 디자인 패턴’을 소개한다.
○ 이 CDP는 2013년에 아마존의 클라우드 설계자가 모여 만들었으며 이후 계속 사례가 늘어나 그 규모가 많이 커졌으며 현재는 책자로 발간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클라우드 도입 시 AWS의 CDP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기업뿐만 아니라 카톡 게임을 개발하는 중소 규모형 업체들도 AWS의 CDP에 대부분을 의지하고 있다고 한다. 국내의 경우 이 CDP의 개선사례나 이를 활용한 연구 사례 등은 찾아보기 힘들다.
○ 클라우드는 여러 가지 장점으로 빅 데이터와 더불어 그 활용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이나 정부와 단체에서 클라우드 도입 시 이 CDP를 활용하면 쉽게 빠르게 클라우드로의 전환이 용이 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CDP를 활용하면서 생긴 많은 노하우를 수집하고 축적한 후 이것이 국내에 전파될 수 있는 체제를 만들 필요가 있다. 향후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해외까지 확대해 간다면 우리의 독자적인 CDP를 만들 필요가 있는지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저자
- Katayama Ake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98(6)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05~511
- 분석자
- 신*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