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중구 세린단백분해효소의 세균 감염 방어 기능
- 전문가 제언
-
○ 호중구(Neutrophil)는 포유류에서 가장 많은 비율(40∼75%)을 차지하는 백혈구이다. 특히 선천 면역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골수에 있는 줄기세포에서 형성되고 수명은 짧으나 이동성이 높다. 호중구는 포식세포의 일종으로 정상적으로는 혈류를 따라 순환한다. 염증이 시작되는 시기, 특히 세균 감염, 환경에의 노출, 특정 암의 경우에 호중구는 가장 빨리 반응하는 세포 중 하나이다. 호중구는 다양한 화학 신호를 따라 염증 부위로 이동하는 화학주성을 나타낸다. 고름은 호중구가 많아 약간 희고 누르스름한 색상을 보인다.
○ 호중구는 면역계의 다른 세포들을 끌어들이고 활성화하기도 하지만, 호중구 자체가 세균 침입에 대항하는 최전방에 있는 세포이다. 호중구는 식세포작용, 수용성 항미생물제의 방출 및 호중구 세포외덫(neutrophil extracellular trap, NET) 생성의 세 가지 방법으로 미생물을 직접 공격한다. NET는 염색질과 세린 단백질분해효소로 이루어진 섬유망으로, 미생물을 세포외에서 살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 단백질분해효소는 단백질을 펩타이드나 아미노산으로 분해하여 세포내 에너지원으로 제공하거나 새로운 단백질의 재합성에 사용되어 세포구성물을 만들도록 하는 중요한 효소이다. 단백질분해효소는 또한 상처의 치유, 배란, 수정란의 착상, 배 발생과 관련된 세포환경을 변화시키고 세포의 이동에도 관여하며, 염증과 혈전의 생성 및 분해에도 직접 관여한다. 단백질분해효소는 트립신이나 플라스민과 같은 세린 단백질분해효소, 카뎁신 B와 같은 시스테인 세린 단백질분해효소 등으로 나뉜다.
○ 조선대학교 이정섭 교수(자연과학대학 의생명과학과) 연구팀은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유전자의 클로닝 및 발현조절,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기작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혈액응고 및 항응고계에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분해효소 유전자 및 단백질 기능 연구, 혈전생성 저해제 및 분해효소의 탐색 및 개발 연구, 병원성 박테리아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한 세포신호 전달 체계 분석 등이다.
- 저자
- Daphne AC Stapel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23()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2~48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