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실제 규모 슬러지소화조의 바이오가스 H2S를 미호기성으로 제거하는 방법

전문가 제언

최근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발효로 생성되는 바이오가스가 유용한 대체에너지로 부각되고 있으나, 바이오가스에 포함된 고농도 황화수소와 같은 불순물이 바이오가스 사용에 문제점을 제시한다.

 

슬러지소화 중에 미호기성 환경의 적용이 바이오가스에서 H2S를 제거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입증되었다.

 

본고에서는 반응물질(극저온 탱크에서 순수 O2, 압력순환 흡착발생기에서 농축된 O2, 공기에 따라 세 개의 실제 규모의 혐기성 반응조로 구성된 하수처리설비에 적용되는 기존 바이오가스 탈황기술(소화조에 FeCl3 투입) 대안으로 세 종류의 미호기성 처리방법이 검토되었다.

 

분석결과, FeCl3 첨가의 대안 중에서 가장 수익성(0.0019/m3-biogas)있는 대체방법은 농축된 O2 주입방법으로 밝혀졌다. 이 방법은 FeCl3, 전기가격 및 H2S 농 변동에 가장 유연한 적응성을 보였다.

 

고농도 황화수소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일반적인 물리화학 적 처리방법에 비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황화수소 처리는 황산염이온의 농축에 따라 액상 pH가 낮아지며, 바이오가스의 메탄함량을 유지하기 위해 산소공급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국내의 최근 연구에서는 고농도 황화수소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호기성 산화방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낮은 pH에서 높은 활성을 갖는 황산화균을 적용하고, 황산화균의 산소와 황화수소 농도에 따른 성장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흡수칼럼과 산화칼럼으로 이루어진 이단 미생물반응기를 적용해 서 액상 순환율, 가스 유입유량, 유입 황화수소 농도변화에 따른 황화수소 제거효율을 확인하고, 수치모델 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 분석해서 공학적인 모델인자를 도출하였다.

저자
I. Diaz, I. Ramos, M. Fdz-Polanc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92()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0~286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