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활성제가 사용된 제올라이트 재생
- 전문가 제언
-
○ 본 특허는 약 1:60 wt.% 무기 나트륨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강산 양이온 교환 수지를 재생하기 위하여 낮은 TDS 재생제 조성물을 함유한 비염화물과 물의 균형에 관한 것이다. 무기 나트륨 제올라이트는 Type A, P, MAP 또는 X 나트륨 제올라이트 또는 상기의 혼합이다.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가 그 조성물에 첨가되며, 그 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이미 사용된 강산 양이온 교환 수지의 처리 방법은 재생제 조성물이 활용된다. 이 방법은 적어도 무기 나트륨 제올라이트의 농축 부유물을 희석하고 나서 물 균형과 결합하고 있다.
○ 본 특허와 관련된 최근 국내 자료로는 (주)대성그린테크의 “제올라이트 재생 부산물을 이용한 고농도 질소 함유 산업폐수 처리공정 개발(2010)”, “천연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메탄하이드레이트 생성에 대한 연구(2011)”, “맥반석과 천연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도시하수와 화장지폐수처리(2012)”, “개질된 천연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카드뮴 흡착(2012)” 등이 있다.
○ 지난 달 미래창조과학부는 포스텍 홍석봉 교수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진이 석유화학 공업의 핵심 소재인 제올라이트의 새로운 구조를 설계하고 합성하는데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그 제올라이트는 석유화학 공업의 촉매로 주로 사용되고, 가정에서 쓰는 합성세제에도 그것이 첨가되어 있다. 합성수지와 농약, 환경오염 정화제 공정 등에도 사용된다. 국내에는 제올라이트 관련 원천기술이 없어 전량 수입하여 쓰고 있지만 상기 연구결과로 제올라이트 소재의 수입 대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제올라이트(비석, 沸石)는 실리카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광물로 3차원 구조의 결정성 알루미나 실리케이트이다. 제올라이트의 내부는 많은 동공으로 구성되어 있고, 물에 넣으면 안에 들어 있는 공기가 빠져 나온다. 그것의 일부가 Na, Ca, Mg 등 양이온과 교환되어 치환되면 세공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물질의 선택적 분리 흡착이 가능하다. 천연 제올라이트도 있지만 합성 제올라이트의 종류는 200여종이 이르고, 종류와 용도에 따라 이온의 종류나 함량이 다르다.
- 저자
- Ecowater Systems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0307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