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연구와 발전에 있어서의 대사체학
- 전문가 제언
-
○ 대사체학은 제약과 임상연구에 커다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새로운 표적의 동정,신약의 작용기작 구명,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특성검정,조기진단용 생물마커의 개발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제약산업에 대사체학의 적용이 아직 초기단계지만 이 연구는 약 효과와 부작용 모두와 관련된 약에 의해 유도되는 대사경로의 조사를 통해 약 작용에 대한 우리의 지식 수준을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초기의 대사체학 연구는 내부 대사작용상의 오류 독성학,그리고 기능성 영양(nutrition)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지금은 다양한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지난 20년간 대사체학 연구는 식물생명공학,미생물학,식품공학 그리고 임상전,후의 실험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 약에 보다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환자들을 찻아내기위한 생물마커의 동정이 기존의 약 치료요법을 개선하고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 개발을 위해 필요하다.
○ 많은 시스템생물학분야 연구가 약 개발과정에서의 주요 병목현상을 해결하기위해 제안되었는데 이중 대사체학이 몇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대사체학은 내부 고유특성과 외부로부터의 요인 간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생기는 대사작용에서의 변경을 알아내는 것이 특징이다.더우기 대사산물은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그리고 대사 네트워크에 관련된 지식이 수십년간에 걸쳐 축적되어있어서 상당히 유리하다.
○ 생물의 대사에 관련된 연구는 오랫동안 이루어져왔으나 본격적인 대사체학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초기단계이다. 특히 신약 개발과 관련된 대사체학 연구는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현재 국내에서도 “omics” 연구 및 시스템생물학연구 활성화에 따라 대사체학 연구가 대학 및 관련 연구기관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그러나 제약업계에서의 신약개발 을 위한 대사체학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Leonor Puchades-Carrasco, Antonio Pineda-Lucen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5()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3~77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