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균성 신남알데히드 함유 poly(lactic acid)/poly(trimethylene carbonate) 필름

전문가 제언

최근의 식중독 세균의 빈번한 돌출이 식품 품질 및 안전성은 유지하면서 식품 내의 세균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고 있다. 항균성 필름 및 코팅은 식품 표면에서의 세균의 증식을 억제 혹은 차단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능동 포장의 개념을 혁신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항균제를 첨가한 생분해성 필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기술동향 분석 보고서에서 소개하는 ‘시남알데히드 (CA) 함유 poly(lactic acid) (PLA)/poly(trimethylene Carbonate (PTMC) 필름 제조 및 특성 평가’도 그러한 연구의 하나로, CA 9 wt% 첨가한 PLA/PTMC (7/3) 필름이 E. coli and S. aureus에 대해 우수한 항균성을 발현하고, 또한 필름의 기계적 특성, 수분투과도, 그리고 투명성도 포장 필름에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CA 함유 PLA/PTMC의 식품용 능동 포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정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매트릭스로부터 방출되는 CA의 확산 및 방출 속도에 대한 평가 및 이에 따른 CA 첨가량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요청된다.

 

현재 항균 필름의 대부분은 항균제로 은 혹은 아연 제올라이트 및 triclosan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의 마스트 배치를 기존의필름용 범용 수지에 혼련하여 항균 필름을 제조한다. CA와 같은 천연 항균제와 생분해성 수지를 조합하여 항균성 필름을 제조하는 것은 아직 실험실적 연구 단계로 다양한 천연 항균제와 생분해성 수지를 조합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은 제올라이트를 사용한 항균 필름이 제조되어 전자기기의 보호필름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식품 포장용으로는 일본의 Takex Co.의 Take Guard를 모방하여 대나무를 항균제로 사용한 항균 필름 제조에 성공했다는 신문 보도가 2010년에 있었지만, 실용화 여부는 불투명하다. 2011년 연세대 패키징학과에서 천연 항균제를 PP 필름에 코팅하여 식품 포장용 항균 필름을 제조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저자
Yuyue Qin, Jiyi Yang, Jing Xu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50()
잡지명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150~1158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