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개발에 대한 분자기작의 중요성
- 전문가 제언
-
○ PK/PD작업이 약 개발의 결정적 요소인데 전통적 PK/PD연구는 새로운 약의 가장 효과적인 표적을 동정하거나 복잡한 생물학적 보상 기작을 설명하지 못했다. 이러한 예측의 결여가 이들 연구에서 얻어지는 자료의 성상(nature)때문이며 이것이 환자 특이 반응의 예측뿐만이 아니라 다른 투약 범위나 관련 약에 대한 추정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기작론적 컴퓨터 모델은 단백질, ATP, RNA같은 주요 분자들과 이들이 작용하는 발현, 세포 하부조직 간 교통, 분해, 광인산화, 비활성화 같은 과정 간의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 하는 모델을 말한다. 그리고 약 식별(discrimination), 다양한 인구집단으로의 이행(translation), 새로운 치료 연구의 성공을 위한 필요조건의 확립 등을 포함한다.
○ 질병 관련 분자가 동정되어도 반드시 효과적인 약 표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표적에 기초한 검정은 관행적인 표현형에 의한 약 검정보다 더 효과적이지는 못하다. 따라서 약 개발 연구자들이 세포 작용을 조절하는 분자들의 상호작용을 잘 이해하기 위한 기작론적 컴퓨터 모델과 대용량 실험을 조합한 시스템 생물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떠오르는 분야인 시스템 약리학은 시스템 생물학과 PK/PD모델링을 연결하여 시스템 생물학에서 얻은 기작의 깊은 지식을 치료 상 적절한 내용으로 바꾸는 것이다. 시스템 약리학이 가지고 있는 가장 유망한 분야는 기하학적 차이와 종 특이(species-specific) 유전자와 유전자 발현 패턴 양쪽 모두에 기인하는 동물 모델과 인간 사이에서의 PK/PD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는데 있다.
○ 지금까지 PK/PD는 국내에서도 널리 연구되고 신약 개발에 이용되어왔으나 기작론적 컴퓨터 모델을 이용한 약 검정 및 신약개발은 아직 활성화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최근의 시스템 생물학 연구가 분야별로 활성화 되면서 이 모델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스템 약리학과 더불어 연구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Linsay E.Clegg and Feilim Mac Gabhan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99()
- 잡지명
- Pharmacologic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9~154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