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지상 균근균의 유전체 다양성

전문가 제언

수지상 균근균(arbuscular mycorrhizal fungi)은 가장 널리 분포되어있으며 중요한 식물 공생균이다. 이들은 식물 없이 배양될 수 없으며 무성생식을 하며 공통의 세포질 내에 복수의 핵을 가지고 있다.

 

핵내 유전적 변이가 있으며 생장과정에서 이 변이가 분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의 발현은 아직 논쟁거리로 남아있다. 최근에 Rhizophagus irregularis 계통에 대한 두 편의 전 유전체 염기서열 결정이 아주 불완전한 유전체 조립(assembly) 상태로 발표되었는데 두 편 모두 핵내 유전적 변이는 낮다고 보고하였다.

 

핵 유전체의 다양성은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단리체(isolates)내에서는 실제로 변이가 없지만 단리체 간에는 유의성 있는 변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전체 염기서열 데이터는 유전적으로 균일한 개체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도구를 사용하여 조립되었기 때문에 조립이 조각화(fragmented)되어 대립인자들이 paralog로 혼동될 수도 있다.

 

수지상 균근균이 마이토콘드리아 다양성을 홀로 임의적으로 일어나는 유전적 표류(genetic drift)보다 빠르게 제거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는지는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결정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핵에 의해서 발현되는 염기서열의 빈도가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은 유전적으로 다양한 핵들에서 일관성 있게 일어난다. 그러나 만일 모든 핵들이 같은 대립인자를 가지고 있다면 설명하기가 어렵다.

 

수지상 균근균에 대해서는 유전 연구를 비롯하여 다양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진행되어왔으나 핵 유전체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유전체 분석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세계적으로 이미 여러 속의 균근균의 핵 및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에 대한 데이터가 이용 가능한 상태이므로 앞으로 국내에서도 연구가 활성화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J Peter W You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26()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13~119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