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MC/면 나노섬유 복합재료 필름

전문가 제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는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하나로 독성이 없고,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이 있어 제약 및 식품가공 산업용 증점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CMC 필름은 산소, 탄산가스, 지질에 대해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신선한 과일 및 야채와 같은 신선식품의 식용 코팅에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CMC도 대부분의 타 천연 고분자와 마찬가지로 기계적 강도가 취약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무기 충전재 첨가 혹은 타 고분자와의 블렌딩에 의한 물성 개선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본 분석 보고서에서 소개하는 면 나노섬유(CNF)/CMC 나노복합재료도 그 한 예라 할 수 있다.

 

CNF/CMC의 경우도 타 나노복합재료와 마찬가지로 소량(5wt%)CNF 첨가에 의해 인장신율 및 투명도의 저하는 별로 없으면서 인장강도 및 탄성률이 크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식품 포장용 필름 제작에 적합한 소재로 판단되지만 실용화를 위한 우선과제는 나노입자인 CNF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이다.

 

해외에서는 Oregon 주립대학 목재공학과의 ‘CNF CNF/CMC 필름‘, 모로코 Univ. Mohammed VI Polytech. Adv. Materials 센터의 산화그래핀/CMC 나노복합재료 필름그리고 이란 Univ. of Tabriz 화학과의 ‘layered double hydroxide/CMC 나노복합재료 필름등이 문헌상의 최근 연구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그다지 활발히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분야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문헌상에 나타나는 국내에서의 최근 연구 활동은 성균관대학교 식품 생명공학과의 ‘CMC/나노 클레이/사과껍질 분말 나노복합체를 원료로 한 생분해성 포장용 필름 개발과 목포대 식품공학과의 본 소개 논문 정도로 국내 역시 해외와 유사한 경향이다. 참고로 국내 유일한 CMC 생산 업체였던 ()고제도 중국 업체에 밀려 최근에 이 사업에서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

저자
Ahmed A. Oun, Jong-Whan Rhim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27()
잡지명
Carbohydrate Polymer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1~109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